새 정부 청와대 비서실의 문희상 실장과 유인태 문재인 수석 내정자가 대북송금 파문과 晥? 해법과 강조점에서 미묘한 차이를 보여 역할분담이 이뤄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문희상 비서실장 내정자는 김 대통령이 대북송금 사실을 간접 시인한 것으로 본질적인 진상은 밝혀졌다면서 진상규명보다는 여야간 한 차원 높은 정치적 합의 및 해결을 강조하고 있다. 형사처벌의 실익도 없고 국익훼손도 우려된다는 것이다.
또 "검찰수사의 선을 넘어섰다"면서 검찰수사 반대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다. 사법심사는 적절하지 않다는 김 대통령의 언급도 의식하는 듯한 태도다. 본인은 극구 부인하지만 청와대와의 교감이 있을 법도 하다는 분석이 그래서 나온다.
문 내정자는 3일 청와대 설명이 미흡한 것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내가 무슨 자격으로 미흡하다고 하겠나"라고 말해 자신의 입장을 인상적으로 대변했다. 그러면서 "빈대 잡자고(진상규명) 초가삼간 태워선 안된다(국익훼손)는 점을 강조했더니만 빈대 잡지 말자고만 해석하면 어떻게 하느냐"며 당선자의 의중을 새삼 대변하려 했다.
이에 반해 유인태 정무수석 내정자는 야당과 여론을 의식하면서 "지금 이 정도로 국민과 야당을 납득시킬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며 추가적인 진상규명이 필요하다고 연일 청와대를 압박하고 있다. 그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서도 관련 당사자들의 국회 출석과 진상공개, 해명, 사과 등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정치적으로 덮자는 데 납득할 국민이 있겠느냐"고 말했다.
다만 유 내정자 역시 검찰수사에는 부정적이다. 그러나 문희상 내정자와는 달리"대통령이 사법심사 대상이 안된다고 했는데 수사가 제대로 되겠으며, 한나라당이 검찰의 수사결과를 그냥 넘기겠느냐"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에 대해 문 내정자는 "우리가 역할분담을 한 것인가. 수사기법에 '투캅스 이론'(피의자에 대한 당근과 채찍)이 있지..."라고 농담처럼 말했다. 이런 가운데 문재인 민정수석 내정자는 당선자가 이날 정리한 '외교적 파장과 국익을 고려한 진상규명 및 규명 주체와 절차, 범위에 대한 국회의 초당적 합의'라는 입장에 가장 가까운 발언을 했다.
그는 "사실규명 위에 정치적 해결을 하자는 것으로 검찰조사를 했는데 의혹해소가 안됐다며 거듭 시비가 되풀이돼선 안된다"고 밝히면서도 "검찰수사, 국정조사, 특검 등 정치적 합의로 일거에 규명하는 게 필요하다"고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뒀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강선우, 임금체불로 두차례 진정…국힘 "자진 사퇴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