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국민들로부터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는 '신문사 경품경쟁'은 법을 어긴다는 반성은커녕 '뻔뻔함의 동맹'으로 까지 비쳐지고 있다.
물론 그 주역은 소위 '빅3'라는 중앙지를 꼽는다.
우리나라 신문시장 점유율 70%도 성에 차지 않는 듯 자기의 신문을 보면 자전거, TV 등을 공짜로 준다는 미끼를 내세워 언론시장을 혼란케 한다.
최근에는 옥매트, 전자레인지, 비데까지 등장할 정도로 경품의 다양화도 이루어졌다니 '빅3 신문의 횡포'는 끝간데를 모른다는 느낌도 든다.
언론학자들이 질타하고 있는 '언론권력'에 수긍할 독자들이 많을 성 싶다.
▲이런 행태는 자전거 판매대리점 자영업자들의 거센 저항을 자초해 모양새가 우습게 됐다.
자전거를 경품으로 제공하는 신문사들의 불공정 거래를 단속해달라며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거대 신문사 지국들의 자전거 경품제공으로 매출액이 절반이상 줄어드는 등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일부 신문사의 불공정행위가 서민들의 '밥통'까지 빼앗는 꼴이어서 도덕 불감증, 윤리상실이라는 비난도 받을 만 하다.
더욱 문제는 지난해 5월부터 전국을 난타한 경품전쟁이 해를 넘겨서도 숙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새 정부가 출범하면 경품 신문판촉이 어렵다며 이를 밀어붙인다니 할말을 잃는다.
▲무분별한 독자확보 전쟁의 원인을 엘리트 신문의 부재에서 찾을 수 있다.
현재 한국신문계는 종합지나 대중지는 있으나 프랑스 르몽드 지(紙) 같은 고급신문은 없다.
르몽드는 발행부수가 40만부 정도이고 스페인의 ABC도 30만부를 넘나든다.
따라서 우리나라 일부 신문사와 같은 치졸한 '독자확보 전쟁'을 할 필요가 없다.
대중지 수준인 우리나라 종합지, 엄밀히 말하면 소위 '빅3(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가 벌이는 무한 경쟁때문에 그렇지 않은 신문사들이 오해를 받을 수 있고 피해까지 보고 있는 상황이다.
돈 버는데 도움된다면 무슨 짓도 할 수 있다는 듯한 이런 행위가 한국언론발전에 절대저해요인이라는 지적도 할 수 있다.
▲언론인과 언론학자들은 심각한 신문시장의 무질서를 새정부가 풀어야 할 언론계의 최우선 과제로 꼽는다.
한국언론재단의 조사결과는 신문계가 자율로 이를 고치지 못하면 타율적인 조치도 해야 한다는 뜻도 담겨 있다.
'불법판촉중단'을 결의하고도 이를 어긴 일부 신문사를 겨냥한 것이겠지만 신문계 종사자들은 스스로 부끄럽다.
독자들이 결단을 해야 한다는 소리는 입에 담지 못한다.
자율결의도 실종한 판에 '자전거 일보' 사절(謝絶) 요구는 얼굴에 철판 깐 몰염치가 아닌가. 이런 저런 말이 결국 다언삭궁(多言數窮.말이 많으면 자주 궁핍해진다)인데….
최종진 논설주간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강선우, 임금체불로 두차례 진정…국힘 "자진 사퇴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