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린 파월 미국 국무장관은 5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특별회의에서 이라크의 대량파괴무기와 관련한 의혹을 입증하는 녹음 테이프와 위성사진, 이라크 망명자 증언 등 각종 자료들을 제시했으나 안보리 이사국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지는 못했다.
파월 장관은 이라크가 생물, 화학무기와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지 않았으며 사찰단을 기만해 왔음을 입증하는 갖가지 자료들을 제시했다.
그가 안보리에 들려준 한 녹음 테이프는 사찰단 방문에 대비해 금지된 무기의 은폐 대책을 거론하는 이라크 장교 2명의 육성이 담겨 있었다.
또 사찰을 앞두고 화학제제 흔적을 지우기 위해 화학무기 벙커 주변을 청소하고 있는 제독차량 등이 담긴 위성 사진도 제시됐다.
그러나 이라크에 대한 공격보다는 유엔 사찰에 더 많은 시간을 줘야한다고 주장해온 프랑스와 러시아, 중국 등 주요국가들의 입장은 크게 변하지않았다.
도미니크 드빌팽 프랑스 외무장관은 "무력의 사용은 최후 수단"이라면서 사찰활동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고리 이바노프 러시아 외무장관도 "파월 장관이 제시한 정보들은 이라크에 대한 국제사찰이 계속돼야 함을 강력히 나타내주고 있다"고 드 빌팽 장관의 입장에 동조했다.
미국과 영국은 일단 이라크 공격을 승인하는 내용의 안보리 2차 결의안을 상정할 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오는 14일에는 사찰단 책임자들이 안보리에 다시 사찰경과를 보고할 예정이어서 미.영은 이 때까지 외교노력을 계속해 지지를 규합한 뒤 2차 결의안 상정여부를 판단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애리 플라이셔 백악관 대변인은 "세계 각국의 생각과 의견은 중요하다"면서 "부시 대통령은 각국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으며, 이런 협의 과정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외신종합=박운석기자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강선우, 임금체불로 두차례 진정…국힘 "자진 사퇴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