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IMF 책임론 무사히 넘길까

고건 총리지명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요청서가 7일 국회에 제출됨에 따라 청문회 정국이 본격화되고 있다.

오는 20일부터 이틀간 열릴 이번 청문회에선 고 지명자와 차남의 병역면제 의혹을 비롯 80년 5·17 당시 잠적설과 87년 6월항쟁 강경진압설, IMF 책임론 등이 주요 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고 지명자는 이날 청문회요청서를 통해 재산 납세 등의 내역을 공개한 데 이어 별도의 보도자료를 내 7대 쟁점에 대한 해명에 적극 나섰다.

병역면제 의혹이 가장 논란거리. 고 지명자 본인의 경우 대학시절인 지난 58년 현역판정을 받았음에도 입영이 미뤄지다 4년후 징집을 면제받은 것이다.

이에 대해 그는 "4·19와 5·16으로 이어지는 특수상황에서 62년 징집이 면제돼 보충역으로 편입됐으나 70년말 병역법개정으로 만 40세 이상이 되는 79년1월1일자로 병역의무가 종료됐다"고 해명했다.

차남의 병역면제에 대해선 "84년 1급판정을 받았으나 87년 재검에서 '현대사회적 질병'으로 면제받았다"며 "아들은 이제 처자를 거느린 가장으로 최소한의 프라이버시는 보장돼야 하며 구체적인 병명은 공개하고 싶지않은 게 부모로서의 심경"이라고 덧붙였다.

79년 10·26직후 청와대 제 2수석비서관으로 3일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고 이듬해 5·17 비상계엄 확대때도 일주일간 출근하지 않았다는 소문에 대해서도 그는 "10·26땐 국장(國葬)준비로 청와대에서 사흘밤을 꼬박 새웠으며 5·17땐 군정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 사표를 낸뒤 칩거했다"고 밝혔다.

6월항쟁 당시 내무장관으로 강경진압을 건의했다는 설에 대해선 "경찰의 능력으로 치안을 유지함으로써 군이 출동하는 사태는 막아야 한다는 게 내무장관으로서의 좌표였다"며 "오히려 평화적 해결을 건의했다"고 해명했다.

97년 총리 재임당시 IMF사태 발생에 대한 책임론과 관련해선 "총리는 주요 경제정책의 결정과정에 참여하지 못해온 게 우리 정부의 오랜 관행이었다"는 식으로 반박했다.

고 지명자는 본인과 직계 존비속의 재산으로 35억6천102만원을 신고했다.

본인은 13억9천15만여원이며 서울동숭동 주택(대지 128평, 건물 80평) 12억8천928만원, 현거주지인 동숭동 연립주택(54평·임차) 3억원, 연지동 사무실(23평,임차) 7천420만원, 경기 남양주의 가족묘지용 임야(200평) 118만여원, 예금 1천272만여원, 채무 3억원 등이다.

부인 재산은 예금 419만여원.

유가증권 재산이 전혀 없고 예금도 부부 합쳐 1천692만원 정도에 불과한 점이 특색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