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지방의료원 '진료공백' 그냥 두나

전국의 지방공사 의료원에 의사가 크게 부족해 진료에 차질을 빚는 현상은 이미 오래전의 일인데도 이를 외면하는 것은 행정 부재는 물론 일종의 직무유기다.

이용환자 대부분이 서민층이거나 저소득층이기 때문에 상대적인 박탈감에 따른 역작용도 우려되고 있다.

대구.김천.안동의료원의 진료과목 상당수가 의사가 없어 폐쇄했다니 진료공백은 물론 서민의료 서비스에 비상이 걸렸다.

대구의료원의 경우 피부, 비뇨기과, 이비인후과는 아예 의사가 없어 폐쇄했고 2, 3명이 있어야 효과적인 진료가 가능한 일반외과와 산부인과 경우 의사 1명이 환자를 받는 형편이다.

김천, 안동의료원은 사정이 더 심각해 김천의료원의 경우 최근에 7명의 의사가 떠나는 바람에 피부, 비뇨기과, 이비인후과, 흉부외과, 성형외과 등 5개과를 폐쇄할 만큼 딱한 처지다.

안동의료원은 정원 23명중 자리를 채우지 못한 인원이 6명인데다 소아과는 전문의가 없어 타과 전문의가 치료를 대신 할만큼 진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하루빨리 대책을 세워야 한다.

그냥 둘일이 아니다.

의사가 떠나는 근본원인이 낮은 보수라면 적정한 보수체계를 세울 일이다.

근무조건도 대도시와 비교해 열악하고 보수도 일반병원의 절반이 조금 넘는다면 아예 의료원서 나가라는 것이 아닌가. 의사를 충원할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해 효율적인 대처를 바란다.

중앙정부도 이를 외면하지 않아야 한다.

지방공사 의료원 의사 부족 현상은 전국적으로 공통된 일이고 병원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 예산의 뒷받침이 절실하다.

지방자치단체에게만 맡겨서는 서민들을 위한 의료서비스 향상을 바라볼 수 없다.

적자부담을 덜어줄 특단의 조치가 있었으면 한다.

농촌이나 지방도시의 서민층들이 의료혜택을 못받아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복지의 폭을 넓히기를 바란다.

국민들이 건강해야 국가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의사들의 근무환경 개선책도 세울 일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