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신용등급 전망 하향'충격 벗어나 주가.환율 등 안정세 반전

미국의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가 우리나라의 신용등급 전망을 두단계 하향 조정함에 따라 외평채 가산금리가 올들어 최고치를 기록하고, 주가.환율이 불안해지는 등 경제전반에 '충격'을 던졌다.

그러나 12일 오전 금융시장은 '무디스 충격'에서 다소 벗어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그 향방은 유동적이다.

또 이번 신용등급 전망 하향의 빌미가 된 북핵 문제에 대한 정부의 안이한 대처에도 비판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무디스가 신용등급 전망을 두단계 하향조정한 것과 관련,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가산금리가 올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12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시장에서 10년만기 외평채의 가산금리는 미 재무부채권(TB)을 기준으로 전날보다 0.05%포인트 오른 1.28%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1월4일 1.31%이후 최고치다.

12일 오전 주식시장은 신용등급 전망 하향 여파가 다소 진정돼 종합주가지수.코스닥지수 모두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환율도 달러화 약세에 따라 소폭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금리도 전날의 급등세에서는 벗어났다.

이번 신용등급 전망 하향과 관련 우리 정부가 북핵 등 주변 상황을 지나치게 낙관하다 예상치 못한 '암초'에 부딪히고 말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무디스 신용평가단이 지난 달 북핵 문제 등에 대한 우리 정부의 설명을 듣기 위해 방한한 직후 정부는 "신용등급 전망을 현행대로 유지하기로 했다"며 낙관적인 입장을 밝혔으나 결과는 정부의 예측과는 정반대로 나왔다.

당시 방한했던 무디스 한 관계자는 11일 "신용등급 전망을 안낮추겠다고 말한 적이 없다"고 밝혀 낙관론을 펴던 정부는 결국 뒤통수를 맞았다.

또 국가 신용등급 조정때마다 이를 사전에 알고 있었던 것 같은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매행태 반복으로 국내 기관과 개인투자자들만 멍든다는 지적도 있다.

외국인은 거래소시장에서 지난 달 9일부터 순매도로 전환, 무디스가 신용등급 전망을 하향 조정한 날까지 4천400여억원의 누적 순매도를 기록했다.

증권사 관계자는 "국제 신용평가기관의 신용등급 발표를 앞둔 외국인의 매매는 항상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겼다"며 "신용등급 조정을 미리 알고 있었던 듯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매행태로 선량한 국내 개인.기관투자자들만 손해를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신용등급 전망 하향에 따라 미국-이라크 전쟁 위기, 북한 핵문제 등의 악재로 고전하고 있는 지역 경제계는 신용등급 하향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대현기자 sky@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