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년 중 최초의 보름을 상원이라 하고 그 해 맨 먼저 보름이 되는 날을 가리켜 대보름이라고 부른다.
음력 1월14일은 작은 보름이라 하여 수숫대의 껍질과 속대를 여러 가지 모양으로 잘라서 물감으로 채색한 뒤 벼, 보리, 밀, 옥수수, 콩 등의 이삭 모양을 만들어 짚단에 꽂아 긴 장대 끝에 묶어서 집 옆에 세우거나 마구간 앞 거름더미에 꽂아 놓는다.
이것은 낟가리를 상징하는 것으로, 그 해 오곡이 낟가리처럼 풍성하게 여물어줄 것을 바라면서 즐기는 행사였다.
음력 1월15일 대보름에는 집집마다 약밥을 만들어 먹었으며 저녁에는 마을사람들이 모여 달맞이를 했다.
이날 밤 들판에 나가서 그 해의 새싹이 잘 자라고 전답의 해충이 소멸되도록 쥐불도 놓았다.
아이들은 연띄우기, 바람개비, 돈치기 등을 즐겼으며 어른들은 다리밟기, 편싸움, 횃불싸움, 놋다리밟기 등을 하기도 했다. 대보름날 밤에는 온 마을이, 때로는 마을과 마을이 대결하는 경기를 해 집단적으로 즐겼다.
이외에도 좋은 풍습이 있다.
부스럼이 나지 않고 치아가 튼튼해져서 건강한 한해를 보낼 수 있다고 부럼을 깨고, 귀가 밝아지고 눈이 잘 보인다고 해서 귀밝이술도 마시고 달맞이하러 동산에 올라갔다가 불놀이를 하기도 한다.
요즘 인정이 메말라가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
우리나라의 좋은 미풍양속은 현대 시대에 맞게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즐거운 명절풍속이 되었으면 한다.
전재숙(영천시 금호읍)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