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을 만난 자리에서 한 안보관련 언급이 내외의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인수위가 한 때 발언을 삭제하는 소동까지 빚었으니 여파를 제대로 인식하고 있었던 모양이다.
같은 날 북한은 "자위조치가 필요할 경우 전 세계 모든 미군과 군사령부에 대한 공격이 이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세계 31개국이 북한 핵 문제를 유엔 안보리에 상정한 데 대한 일종의 반격성 도발이다.
노 당선자가 전쟁위기를 앞세우며 내놓은 몇 가지 언급은 우리를 실망스럽게 한다.
먼저 국민의 안위를 최우선으로 해야 할 당선자가 '전쟁'이라는 용어를 너무 쉽게 언급한 것이 걱정스럽다.
전쟁위기는 우리의 국가 신용을 떨어뜨리는 심각한 국익 훼손 요인이다.
당선자는 외국에 그런 인상이 과장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사람이다.
그럼에도 '전쟁위기'를 스스로 확대하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어 염려를 키운다.
노 당선자가 "대북지원은 퍼주기가 아니다.
더 퍼주더라도 투자를 해야 한다"고 한 말은 국민상식을 뛰어넘는 독선으로 간주될 수 있다.
우리 국민들이 경계하는 것은 대북지원 자체가 아니라 국민의 공감대가 없는 밀실 뒷거래다.
통일정책의 정당성과 투명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어떤 대북지원도 퍼주기가 되는 것이다.
노 당선자가 더 퍼주기를 하겠다는 것은 더 독선적인 정책을 펴겠다는 소리로 해석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미국과 북핵 견해 다를 것은 달라야 한다" "경제에 어려운 일이 있더라도 굳은 결심을 해야한다"는 언급도 혼란을 부른다.
노 당선자가 말하는 '전쟁위기'를 막기 위해서는 대북 퍼주기가 아니라 한미안보동맹을 강화해야 한다.
북한의 군사 도발을 막는 것이 우리 국방의 최우선 사항이기 때문이다.
물밑조율을 해도 충분할 내용을 공연히 노출시켜 동맹관계에 손상이 가도록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쉽게 납득되지 않는 이유로 '경제에 어려움'을 국민에게 부담 지우는 당선자의 언급도 뭔가 잘못돼가고 있다는 의구심만 키울 뿐이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