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간 임단협 타결부진·공공 쟁의 가결

경기가 바닥권을 헤매고 있는 가운데 올해 산업 현장의 노사 단체교섭이 유례 없는 정면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이는 민간 부문에서의 임단협 타결이 예년보다 크게 부진,분규 폭증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지하철 등 공공부문까지 잇따라 분규 대열에 가세하고 있기 때문.

대구 지하철노조(노조원 1천33명)는 4일까지 사흘간 쟁의행위 찬반 투표(투표율 96%)를 실시한 결과 재적 조합원 73%가 찬성해 파업 돌입 날짜 등 앞으로의 투쟁 일정을 오는 9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파업이 실행될 경우 동시에 진행된 투표에서 역시 파업이 결의된 부산·인천 지하철과 연대해 진행될 전망이며, 대구 지하철은 1997년 개통 이후 첫 파업을 기록하게 된다.

공공부문에서는 또 한국노총 산하 국민연금노조와 건강보험 직장노조가 투표 등 절차를 끝내 놓고 이 달 중 전면파업을 계획하고 있으며, 경북대병원 등 대구·경북 11개를 포함한 전국 140여개 주요 병원 노조가 가입한 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도 다음달 초 단체행동을 준비하고 있다.

민간부문에서는 한국노총이 오는 30일 총파업을 선언했으며 상당수 노조들은 이달 말 일제히 파업에 들어가기로 일정을 잡아놓고 있다.

한국노총 산하에서는 대구은행 등 39개 금융기관 8만여명의 조합원이 소속된 금융노조가 올 단체교섭을 조흥은행 매각과 연계해 총파업 불사 방침을 밝혔다.

민주노총의 경우 10개 사업장 1천700여명의 조합원이 있는 금속노조 대구지부가 지난 3월부터의 교섭에 진전이 없다며 4일 오후 달성공단에서 공동투쟁 출정식을 가진 데 이어 오는 11일 쟁의조정 신청을 내는 등 파업 수순을 밟기로 했다.

금속노조는 이달 말 전국 동시 파업도 계획하고 있다.

현재 대구·경북의 임단협 타결률은 지난해 같은 시기의 절반 이하에 불과, 분규 발생 가능성이 훨씬 높아져 있는 상황이다.

대구노동청에 따르면 대구·경북 상시근로자 100인 이상 임금지도 대상 582개 사업장의 6월초 임금교섭 타결률은 작년엔 38.5%였으나 올해는 18.6%(108개)로 크게 낮아졌다.

노동청 관계자는 "불황 속에서도 근로자들의 요구는 커져 임금교섭이 타결된 사업장의 올해 총액임금 인상률은 7.1%로 작년 5.5%보다 높게 나타났다"며 "이런 상황때문에 경영상태가 좋잖은 사업장에서는 노사간 합의점 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최경철기자 koala@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