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낙농정책 항의 파문 확산

원유 과잉생산으로 납품길이 막힌 전국의 낙농가들이 5일 서울 여의도에서 정부의 우유 감산정책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는 등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이날 낙농진흥회 소속 낙농가들은 "폐업 및 생산감축을 통한 우유감산정책을 낙농진흥회 소속 낙농가에만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낙농진흥회 탈퇴를 선언하는 등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낙농가들은 이날 정부의 낙농정책에 항의하기 위해 서울 여의도와 영등포 신세계 백화점 등지에 송아지를 버려둔 채 사라지는 등 곳곳에서 집회 참가를 제지하는 경찰과 심한 몸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낙농가들은 "1999년1월1일 설립된 낙농진흥회 가입 당시 UR와 WTO체제출범에 의한 유제품의 수입개방에 대비하고 낙농산업의 경쟁적 확보와 생산농가의 우유 전량 납품조건으로 계약했으나 오히려 피해를 입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쿼터량 초과분에 대한 유가는 정상가격보다 3분의1 가격만 지급하고 전체 30%유가는 미지급(2개월분)하고 있는 등 생산농가들이 생계가 막막하다는 것.

낙농진흥회 회원 정석용(62.경주시 안강읍 산대리)씨는"안강지역에서만 40호 농가가 하루에 22t씩 생산하고 있으나 원유 납품길이 막혀 지난 1일에는 수십t을 폐기처분했다"고 밝혔다.

정씨는 "일반유업체와 계약한 농가는 납품이 되고 있으나 낙농진흥회에 가입된 농가는 유가를 차등지급하고 납품마저 제대로 안되고 있다"면서 "낙농진흥회에 탈퇴시켜 줄것"을 요구했다.

최근 원유값 하락에다 납품길마저 막혀 농가피해가 심각한 것은 우유 과잉생산에 문제가 있다고 하지만 우유생산농가들이 납품계약을 체결하면서 일반 유업체와 낙농진흥회로 갈라져 있는 등 우유납품이 이원화 돼 있는데도 원인이 있다는 분석이다.

축산 관계자는 "정상적인 가격을 받기 위해 원유생산량을 줄여야 한다"면서 "사랑의 우유보내기 운동 등 우유소비 촉진을 위해 소비 홍보 및 다각적인 대책이 필요다"고 말했다.

경주.박준현기자 jhpark@imar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