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가 낳았던 조선조 중기의 학자 퇴계 이황(退溪 李滉)은 일찍 나라의 힘을 키우는 방법론을 제시한 바 있다.
전국에 신작로를 동서로 다섯 개, 남북으로 세 개를 만들고, 집집마다 소를 두 마리씩 기르자고 조정에 건의했다 한다.
하지만 큰길을 내면 오랑캐들이 쳐들어오기 쉽다는 이유로 모든 대신들이 반대했다.
소극적이고 패배주의적인 발상에 부닥쳤던 셈이다.
이 문제를 두고 이건희(李健熙) 삼성그룹 회장이 한탄한 적이 있다.
경제가 크게 발달할 수 있는 그 실용적인 자본주의 원리가 받아들여졌더라면 우리 역사가 크게 달라졌을 거라는 논리였다.
▲우리의 선비정신은 사회 지도자로서의 직분을 제대로 하며 국민과 함께 역사에 대해 책임을 지려는 희생정신도 지니고 있었다고 봐야 한다.
요즘 회자되는 '노블레스 오블리제'와 같은 맥락에 놓이는 정신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그 정신이 사라진 자리에 소인정신과 배금주의·보신주의가 깊이 들어와 있는 게 우리의 현실이 아닐는지…. 국가의 진보와 퇴보가 사회 지도층의 정신력, 변화를 추구하는 남다른 정신에 있을 게다.
▲'마(魔)의 1만 달러 넘기' '나라 위한 천재 키우기'. 10년 전 "마누라와 자식만 빼고 다 바꾸어라"며 '양에서 질로의 변화'를 외쳤던 이건희 회장이 '신경영 10주년'을 맞으면서 내세운 새 화두다.
그는 지금 우리 경제는 선진국들이 이미 겪었던 그 마(魔)의 불경기에 처해 있다고 진단, 노사 문제나 집단 이익을 위한 사회 혼란이 급감할 수 있는 2만 달러 시대에 돌입하려면 온 국민이 함께 노력할 때라고 주장했다.
▲'삼성'은 10년 전부터 앞서가는 경영을 펼쳐왔던 것으로 알려진다.
외형을 중시하는 우리 경제계의 당시 풍토에서 품질과 기능을 중시하는 변화의 추구가 바로 그것이었다.
그 덕분에 외환 위기를 극복했고,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도 삼을 수 있었을 게다.
사실 '삼성'은 1993년 이후 매출액을 연간 141조원으로 3.4배, 세전 이익은 14조원으로 무려 28배나 늘렸다.
수출액도 전체 국가 수출의 20%를 차지하는 312억 달러를, 상장사 주가총액의 27%를 기록하기도 했다.
▲많은 사람들이 '국제화'를 내세우지만 그 준비를 하는 사람은 과연 얼마나 될까. 요즘 나라가 흔들리는 것도 '아마추어리즘'때문이라는 비판의 소리도 없지 않다.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정치·경제적 환경은 비전을 가진 변화를 요구하고 있지만 불감증과 복지부동의 타성에 젖어 있는 건 아닐는지. '삼성'은 2010년 비전을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으로 정하고, 올해 석·박사 1천명을 채용할 예정이라 한다.
퇴계가 이 시대에 살아 있다면 어떤 주장을 폈을까. '천재 경영'이라는 화두를 깊이 새겨볼 일이다.
이태수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