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산이 대구 도심에 위치해 있으니까 공원정도의 야산으로 생각하기 싶지만, 서울남산과는 비교도 되지않을만큼 높고 웅장하다.
골도 깊고수목도 울창하여 어느 명산 못지 않다.
고산골을 오르내리면서 내가 모르고 있던 많은 꽃이며 풀이며 나무들을 만날 수 있었다.
나와 함께 살고 있는 생명들의 이름을 이토록 모른다는 나의 무식함을 깨닫게 되었다.
잡다한 지식으로 머리를 채워 넣었지만 꼭 알아야 할것들은 모르고 있다는 자괴감에 사로잡혔다.
그리고 산에는 늘 축제가 열리고 하루도 같은 날이 없이 늘 새롭게 변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즐거운 축제. 티없는 환희의 축제가 화려한 개막식을 하고 내년을 기약하는 멋진 폐막식을 끝임없이 진행하고 있는 산속의 세상을 어렴풋이나마 느끼게 되었다.
그들의 축제에 참여하여 함께 노래하고 환희하고 감격할만큼 내 마음이 열려있지는 않지만 어렴풋이나마, 아주 희미하게나마, 산속의 축제를 느낄 수 있다.
영국의 BBC 방송에서 제작한 '식물의 사생활'은 내게 무척 감동을 주었다.
식물도 동물과 마찬가지로 감정을 가지고 있고, 생존을 위해 투쟁도 하고 자손을 퍼뜨리기 위해 온갖 지혜를 쓰는 것은 동물과 다름이 없다는 것을 알게 해 주었다.
그 후부터는 꽃잎 하나 나뭇가지 하나를 꺾을 때도 망설여지고는 했다.
고산골 입구에 있는 벚꽃 터널의 축제는 사치스럽기 그지없다.
어느 여왕의 보석이 이보다 찬란하고, 어느 공주의 옷깃이 이보다 화사할 수 있을까? 눈부신 환희, 꽃피움의 감격으로 목청 높여 노래부르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다.
며칠이 지나면 낙화되어 땅위에 뒹굴다 사라져야 할 운명을 슬퍼하는 것은 인간의 일이지 자연의 일이 아니다.
"너무 짧은 꽃피움이기에 저런 사치를 허용한 모양이지, 자연은 늘 공평하지". 중얼거려 보며 산을 오르지만 이런 중얼거림도 인간의 일일뿐, 벚꽃이 눈처럼 낙화하는 슬픔도 잠깐, 여기저기서 진달래의 붉은 저고리가 보이기 시작한다.
봄도 무르익어 뻐꾸기가 울기 시작하고 다람쥐는 신이 나서 나무위를 오르락내리락한다.
나비들은 이 꽃 저 꽃을 희롱하며 날갯짓을 뽐내고 꿀벌들의 앵앵거리는 소리가 축제의 흥을 돋운다.
'몇 달후면 죽어 흙이 될 저 나비는 무엇이 그렇게 즐거울까'.
그래도 나비는 즐겁고 꿀벌은 신이 나 꽃사이를 누빈다.
천변 휴게소에는 노인 서너분이 앉아 계신다.
무표정하고 지친 듯한 주름, 피로한 두어깨가 어쩐지 축제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생명의 환희와 꽃피움의 감격으로 온 산속이 떠들썩한데 불만스러운 표정으로 앉아 있는 인간이라는 존재, 그래도 축제는 계속된다.
모란이 지면 그뿐, 봄이 다 갔다고 슬퍼한 영랑은 산속의 축제를 몰랐을는지도 모른다.
모란이 져도 이름 모를 작은 꽃들의 축제는 그치지 않고 있다.
바위 틈 작은 흙에 뿌리를 박고 피어나는 아주 작은 꽃의 자랑스러움.
이 꽃이 모란처럼 화려하지 못하다 하여 자살을 하거나 자기 자손을 퍼뜨리는 것을 포기한 적은 결코 없었다.
인간만이 꼴찌를 견디지 못해 자살하는 유일한 존재일 것이다.
아카시아가 온 산을 향기로 덮고 흰구름 같은 원무를 추기 시작하면 산새는 노래하고 다람쥐며 청설모는 어깨를 으쓱거린다.
고산골에는 밤나무가 유난히 많다.
국화가 피기 시작하는 가을 축제가 시작되면서 밤알이 뚝뚝 떨어진다.
낙엽이 지는 것을 인간은 슬퍼하지만 흙이 되어 다음 새 생명을 위한 희망으로 가득한 희망의 축제이다.
겨울이 와도 축제는 끝난것이 아니다.
설레는 마음으로 다음 축제를 위한 준비기간이 시작된다.
지금 보이는 저 나비나 잠자리는 죽어 흙이 되겠지만 내년에도 잠자리는 날고 나비는 꽃을 희롱할 것이다.
죽음은 새생명을 위한 희망이며 소멸은 잉태를 위한 축제다.
이재호(영남수필문학회 회장)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