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 사이 전국의 연간 초혼 혼인율은 25.2%나 감소한 반면 이혼율은 50%나 증가했다.
이 때문에 작년 경우 연간 결혼한 건수는 30만6천573건이었던데 비해 이혼은 14만5천324건으로 그 절반 규모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997년의 전국 혼인 신고 건수는 대구 1만9천169건, 경북 2만1천233건 등 38만8천591건으로 인구 1천명을 기준으로 하는 혼인율은 8.4에 이르렀다.
그러나 혼인 건수는 그 후 해마다 줄어 2002년엔 대구 1만3천741건, 경북 1만4천600건 등 전국 30만6천573건으로 5년 사이에 21.1%인 8만2천18건이나 줄었고 혼인율은 8.4에서 6.4로 23.8%나 감소했다.
혼인 건수 감소세는 이 기간에 특히 심화된 것으로, 1995년 이전에는 일관된 감소세가 나타나지 않았을 뿐 아니라 4년간 감소폭도 4.4%에 불과했다.
특히 1997∼2002년 사이에는 재혼(남자 기준)이 4만1천347건에서 4만7천225건으로 증가한 반면 초혼은 34만5천633건에서 25만8천486건으로 줄어 감소폭이 25.2%에 달했다.
그 사이 초혼연령은 남자의 경우 28.6세에서 29.8세로, 여자는 25.7세에서 27세로 각각 늦어져 이런 추이가 혼인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관측됐다.
반면 대구 4천354건 및 경북 4천203건 등 1997년에 전국 9만1천159건에 그쳤던 이혼은 2002년 경우 대구 7천329건, 경북 6천683건 등 전국 14만5천324건으로 증가해 증가폭은 5만4천165건, 증가율은 59.4%에 달했다.
또 인구 1천명당 비율로 표시하는 이혼율은 2에서 3으로 50% 높아졌다.
출산율 하락에다 혼인율까지 떨어지면 인구 감소로 국가 노동력이 감소하게 된다.
또 이혼이 급증하면 가정 중심의 사회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고 버려지는 아이(기아)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사회적 부담은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문현구기자 brand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