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자연보호연맹과 국제조류보호회의(ICBP)에서 적색자료목록 22호로 지정된 멸종위기 국제보호종인 노랑부리 백로〈사진〉가 독도에 서식하는 것이 처음 확인됐다.
10일 오후 1시쯤 몸 길이 65㎝의 노랑부리 백로가 독도 동도 바닷가 접안시설 부근에서 활공하는 모습을 본지가 카메라에 담는데 성공했다.
성명환 독도 경비대장(경위)은 "지난해부터 괭이갈매기가 서식하는 주변에 백로로 보이는 4, 5마리가 무리를 지어 4월에서 늦가을까지 독도 일대에 20여마리쯤 서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올해 연말까지 독도 보존·관리방안을 위해 학술조사를 벌이고 있는 책임연구원 황정환 교수(49·경주대)팀은 "지난 97년까지 독도에 서식하는 조류는 괭이갈매기, 바다제비, 딱새, 방울새를 포함한 26종이었다"며 "노랑부리 백로가 서식하는 것이 알려지기는 처음"이라고 했다.
노랑부리 백로는 멸종 위기종으로 한국에서는 1988년 8월에 천연기념물 제361호로 지정됐고 우리나라 북부지역과 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돼 있다.
울릉·허영국기자 huhy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