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남북 이산가족 금강산서 단체상봉

지난 2월에 이어 넉달만에 남과 북의 혈육들이 반세기를 넘겨 금강산에서 감격의

상봉을 했다.

당초 예정시간 보다 조금 늦은 27일 오후 4시45분부터 금강산 김정숙휴양소에서

남측 이산가족 110명(보호가족 10명 포함)이 북측의 아내와 아들, 딸, 형제, 자매들

과 감격의 상봉을 가졌다.

최고령자인 어순덕(102) 할머니는 휠체어를 타고 들어가 북측의 딸 정완옥(56)

씨를 보자 손을 어루만지며 말을 잇지 못했고, 101세의 박영철 할아버지는 1.4후퇴

당시 북에 남겨두고 온 둘째아들 명준(65)씨와 반갑게 악수부터 나눴다.

사흘뒤 돌아오겠다던 아들과의 약속을 지키지 못하고 국군에 붙잡혀 거제도 포

로수용소 생활을 했던 김신채(83) 할아버지는 반백이 된 아들 병선(60) 병우(53) 아

들 형제를 보자 "고생이 많았지, 나도 고향생각 많이 했다"며 아들들의 얼굴을 쓰다

듬었고 북측 아내 김화실(83)씨는 "반갑수다"라는 짧은 말로 복받치는 감정을 억누

르기도했다.

36년전 납북된 외아들 윤경구(55)씨와 북에서 결혼한 며느리, 손자.손녀를 만난

이강삼(76) 할머니는 아들을 보자 마자 오열을 터트리며 거의 실신, 이에 아들 윤

씨가 "어머니 울지마세요. 고생 많이 하신 것 다 압니다"라고 달래고 손자.손녀들이

그 자리에서 큰 절을 올리자 겨우 몸과 마음을 수습하기도 했다.

50년 9월 유엔군의 북진때 인민군에서 탈영한 뒤 남으로 피신했던 이석렬(80)

할아버지가 북측의 아내 최용녀(75)씨에게 "얼마나 고생이 많았소. 미안하오"라며

안타까운 마음에 어쩔 줄 몰라 하자 아내 최씨는 눈물을 흘리며 고개를 떨구었다.

전쟁통에 큰 아들 박창선(63)씨를 시댁에 두고 남으로 내려온 김선열(84) 할머

니는 "1분 1초도 너를 잊지 않았다"며 아들의 손을 부여잡고 눈물을 흘렸고, 아들

박씨는 "이렇게 어머니를 만날 줄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고 반갑게 어머니를 안

았다.

1.4 후퇴때 국군을 따라 피난 내려온 이득범(83) 할아버지는 재한.재원 두 아들

이 기다리던 테이블에 앉자 마자 "어머니는 어디에 있니"라며 함남 갑산에 두고 온

아내 이춘옥(85)씨 부터 찾았으나, 운신이 어려워 못나왔다는 이야기를 듣고 안타

까워했다.

가족 보호자로 부부가 함께 방북하는 행운을 잡은 장수근(90) 홍계순(84)씨 부

부는 6.25때 북에 두고 내려온 아들 충희씨(60) 부부와 딸 희숙씨(63)를 만나 "부

모없이 얼마나 고생이 많았느냐. 너무 미안하다"며 눈물을 훔쳤다.

독거노인인 전응오(85) 할머니가 아들과 두 딸, 조카들의 손을 어루만지며 눈물

을 흘리자 딸 박연옥씨는 "우리는 어머니품에서 못 자랐지만 남부럽지 않게 살았습

니다. 울지 마세요"라고 어머니를 달랬다.

아버지가 교수로 있는 평양 음대를 졸업한 뒤 국방부 정훈국 합창단으로 활동하

다 국군을 따라 남으로 내려왔던 황혜경(72) 할머니는 집을 떠나올 때 팔을 붙잡고

울먹이던 여동생 황혜도(69)씨와 조카의 손을 잡고 "가슴이 두근두근하다"며 감격했

다.

단체상봉에 이어 남북 이산가족들은 같은 장소에서 저녁식사를 함께 했다.

이들은 28일 오전 현대아산이 운영하는 해금강호텔에서 있을 개별 상봉을 기약

하면서 각자 숙소로 돌아가 잠 못 이루는 금강산의 첫날 밤을 보냈다. 공동취재단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