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는 지구상에서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미국 남북전쟁(1861~1865년)이 진행되고 있던 1863년 11월19일, 링컨 대통령은 전쟁의 전환점이 된 격전지 펜실베니아주 게티즈버그를 방문, 전몰자들을 위한 국립묘지 봉헌식에 참석했다. 식전에 그가 행한 불과 2분간의 짧은 연설이 바로 그 유명한 '게티즈버그 연설'이다.
원문으로 총 266 단어의 이 연설문은 연설 현장에서보다는 다음날 신문에 실리면서 더 큰 파장을 불러왔고, 미국 역사상 기념비적 문장의 하나로 전해지게 됐다. 오늘날에도 명연설로서 자주 인용되며, 특히 끝맺음의 문구는 민주주의의 정신을 가장 간결, 적절하게 나타낸 것으로 유명하다.
링컨에 앞서 두 시간 연설했던 웅변가 에드워드 에버렛은 "나는 두 시간 연설했고 당신은 2분간 연설했습니다. 그러나 나의 두 시간 연설이 묘지 봉헌식의 의미를 당신의 2분 연설처럼 그렇게 잘 포착할 수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겠습니까?"라고 탄식했다는 일화가 전해질 정도였다.
전투 자체로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 현장에서 군 통수자의 고뇌에서 탄생한 연설은 나라를 위해 숨져간 이들의 헌신을 오늘날까지 빛나게 하고 있다.
▲1598년 충무공 이순신, 노량해전서 전사 ▲1969년 미국 우주선 아폴로12호 달 착륙 성공 ▲1985년 한국, 남극자원보존협약에 가입.
조문호기자 news119@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