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9년부터 사업비 500억 원 이상의 대형 공공 투자사업의 타당성여부를 사전에 검증하는 예비타당성조사 제도가 도입된 이후 대구·경북 관련 대형사업들이 상당수 탈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기획예산처에 따르면 예비타당성 조사가 실시된 이후 지금까지 129조1천억 원 규모, 23개사업에 대한 검토가 이뤄져 이중 금액기준 49.0%인 63조3천억 원 규모, 101개 사업에 대한 추진보류 결정이 내려졌다.
이중 지역관련 사업은 올해 경북중부권 광역상수도 사업 등 지금까지 13건 이상의 대형사업들이 경제성 분석(B/C)이나 지역균형발전, 정책추진 의지, 사업추진상의 위험요인 등을 감안한 정책성분석(AHP) 등에서 기준에 미달, 추진보류됐다.
올해 추진 보류결정이 난 1천502억 원 규모의 경북 중부권 광역상수도 사업은 경제성과 정책성 모두에서 탈락해 추진이 사실상 취소됐으며 2004년에는 1천924억 원 규모의 대구지하철 1호선 시점부 연장, 9천755억 원 규모의 중앙선 도담-안동간 복선 전철화 사업이 각각 탈락했다.
이에 앞서 2002년에는 국립경주국장(575억 원), 2001년에는 중앙선 2복선 전철화(4천606억 원), 대구선 복선전철화(1조4천89억 원), 밀양-청도 국도 확장(1천884억 원), 구미4단지 진입도로(346억 원), 중앙선 영주-영천 전철화(2천789억 원) 등이 탈락했으며 2000년에는 영천-대구 국도확장(2천577억 원), 안동-법전 국도확장(5천368억 원) 등이, 1999년에는 대구-무주간 고속도로(3조2천111억 원), 대구 순환고속도로(4조6천14억 원) 등이 추진 보류결정이 난 바 있다.
그러나 2001년에 탈락한 중앙선 2복선 전철화 사업은 부처간 협의 미비 등으로 추진이 보류됐으나 경제성 분석에서 기준점(1)을 상회하는 1.01점을 받아 앞으로 좀 더 면밀한 사업추진계획만 입안되면 성사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정경훈기자 jgh031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