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눈과 귀와 혀를 빼앗겼지만, 내 영혼을 잃지 않았기에 그 모든 것을 가진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생후 19개월 때 뇌척수막염을 앓은 뒤로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3중의 장애를 안고 살았던 헬렌 켈러. 그러나 그 장애를 딛고 평생 장애인을 위한 교육에 힘썼기에 '삼중고(三重苦)의 성녀' 혹은 '빛의 천사'로 불렸다.
켈러를 완전한 암흑의 세계에서 빠져나오게 한 것은 50여 년간 그의 눈과 귀가 되어준 가정교사 애니 설리번이었다. 인형을 건네줄 때 켈러의 손바닥에 '인형(doll)'이라고 써주고, 물을 만지게 한 뒤 '물(water)'이라고 적어준 교육법은 유명하다.
말할 때 자신의 후두에 켈러의 손가락을 갖다대어 진동을 느끼도록 해 말할 수 있게 만들 정도로 독특하면서도 헌신적인 교육법을 펼쳤다. 평생을 서로에게 의지하며 살아간 두 사람이지만 '서로를 이용했다.'는 시각도 있다.
특히 설리번의 헌신적인 교육은 앞길이 막막했던 상황에서 생활비를 벌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을 거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헬렌 켈러가 세상을 보는 눈을 틔워줘 세계를 감동시킨 휴먼스토리의 밑바탕이 된 것만은 확실하다.
▲1922년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 열림 ▲1996년 러시아, 1920년대부터 정부가 통제해온 루블화 거래 자유화.
조문호기자 news119@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李 '이진숙, 문제있는 것 같아 딱하다' 언급"…정규재 전언
방위병 출신 안규백 국방장관 후보자, 약 8개월 더 복무한 이유는?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