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사고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 100명 중 17명가량이 병실을 비우는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손해보험협회 대구·경북지부에 따르면 지난 19일과 23일 대구 20곳, 포항 14곳 등 24곳의 병·의원을 대상으로 자동차사고 입원 환자에 대한 특별점검을 실시한 결과, 입원 환자 170명 중 17.7%인 30명이 자리를 비우고 외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평일인 19일의 경우, 포항의 14개 병·의원 입원환자 49명 중 자리를 비운 사람은 3명(6.1%)이었지만 주말인 23일 대구의 20개 병·의원 환자 121명 중에는 27명(23.3%)이 외출해 주말에 부재율이 훨씬 높았다.
손해보험협회 관계자는 "국내 자동차보험 입원율은 평균 약 72%로 일본에 비해 8배가량 높다."며 "높은 보상금 때문에 일부 환자들이 불필요한 입원을 하고 경영상의 이유로 이를 유도, 방치하는 병원이 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한편 외출, 외박 환자에 대한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이 개정돼 올 11월부터 시행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교통사고로 입원하는 환자는 외출이나 외박 때 병원의 허락을 받아야 하며 병원도 이런 사실을 반드시 기록하고 관리해야 한다. 이를 어긴 의료기관은 최고 300만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하고, 보험사는 의료기관의 외출·외박 기록을 열람할 수 있다.
최창희기자 cch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