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교수들은 총장 선출과 관련해 서로 팽팽하게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남대 교수회(의장 노석균)가 내년 총장 선거를 앞두고 지난달 13일부터 30일까지 교수 680여 명을 대상으로 총장 선출방식에 대한 전자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총 응답자는 설문별로 241명 안팎.
설문조사 결과 총장 선출방식으로는 응답자의 51.7%가 직선제(124명)를 꼽았으나, 초빙위원회에 의한 선출(73명) 30.4%, 선거인단을 통한 선출(41명) 17.1% 등으로 간선제를 원하는 교수들도 47.5%에 달했다.
총장 후보자의 자격 요건으로는 영남대에 일정기간 근무한 교수(59명, 24.6%)보다는 교내·외, 교수·비교수를 포함해 개방하자는 의견(177명, 73.8%)이 훨씬 높았다.
직선제 투표권의 범위에는 교수와 함께 비정년트랙 교수를 포함한다는 데 50명이, 직원을 포함한다는 데 40명이, 학생을 포함한다는 데 14명이 각각 찬성의견을 냈다.
총장 선출 과정에서 후보자 난립을 막기 위해서는 예비경선(80명, 51.9%), 1·2차 투표 연속 실시(70명, 45.5%) 등이 필요하고, 예비경선의 경우 본선 진출 후보 수는 3명이 가장 적당하다(67.4%)고 봤다. 또 후보들의 선거 공약 및 실천력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이 94.7%로 압도적이었는데, 그 검증 방법으로는 패널을 활용한 후보자 토론회(38.4%), 후보검증위원회 운용(29.5%), 공약 3~5개에 대한 자료 제출(22.6%) 등 순으로 나타났다.
금권선거 방지대책의 경우 1, 2순위를 합쳤을 때 금권선거 금지규정의 명확화(38.5%)가 가장 높게 꼽혔고, 다음으로 선관위 3번 이상 경고시 후보 탈락(23.8%), 대규모 모임 선관위에 사전신고 의무화(20.6%) 등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총장 후보자의 능력으로는 재정확보 능력(29.2%), 학교행정 능력(25.6%), 학교운영 철학(22.9%), 사회적 리더십(16%), 학식과 연구 능력(5.8%) 등으로 조사됐다.
영남대 교수회는 이 같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공청회 등을 거쳐 바람직한 총장 선출 방식을 마련, 교수 총회를 통해 총장 선거규정을 개정할 방침이다.
김병구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