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고부] 春來不似春

겨울의 끝자락이 기어이 꼬리를 감추고 주체할 수 없는 춘풍화기(春風和氣)에 꽃망울이 터질 때면 여지없이 등장하는 말이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다. 봄을 시샘하는 꽃샘추위를 밉살스레 표현하는 말이기도 하지만, 정녕 사람들은 제 마음의 봄을 이루지 못함을 빗대어 표현하는 듯하다.

'춘래불사춘'이란 말은 '호지무화초(胡地無花草)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자연의대완(自然衣帶緩) 비시위요신(非是爲腰身)'이란 당(唐)나라 시인 동방규의 '소군원'(昭君怨)에서 나온 말이라고 한다. '오랑캐 땅에 꽃과 풀이 없으니, 봄이 와도 봄 같지 않구나, 자연히 옷 띠가 느슨해지니, 이는 허리 몸매를 위함이 아니도다'란 뜻을 지닌 이 시에는 봄의 애상과도 같은 기막힌 사연이 숨어 있다.

'중국 한나라 원제(元帝)는 걸핏하면 쳐내려오는 북방의 흉노족을 달래기 위해 궁녀를 흉노왕에게 시집보내기로 했다. 누구를 보낼 것인가 고민하던 황제는 궁녀들의 초상화집을 보다가 그 중 못나게 그려진 왕소군(王昭君)을 찍었다.

그런데 흉노의 땅으로 떠나기 전 작별 인사를 하러 온 왕소군의 실제 모습을 본 황제는 땅을 치고 후회를 했다. 미모에 자신이 있었던 왕소군은 궁중 화가에게 뇌물을 바치지 않아 못나게 그려졌고, 그래서 황제와 만나지도 못했던 것이다.

왕소군이야말로 월나라 서시, 삼국지의 초선, 당나라 양귀비 등과 함께 중국의 4대 미인이 아닌가. 북방으로 팔려가는 왕소군의 눈에도 눈물이 고였다. 정략결혼의 희생양이 되어 흉노의 땅에서 봄을 맞았던 왕소군의 심정을 대변해서 쓴 시가 곧 '소군원'이고 '춘래불사춘'이란 말은 여기서 인용된 구절이다. 북녘의 흉노땅이 아무리 살풍경한들 봄이 되어 어찌 꽃과 풀이 없었을까만, 심사가 그러했을 것이다.

봄이란 그렇게 문득 왔다가 속절없이 가는 것이고, 사람들은 공연히 춘정(春情)에 겨워 '춘래불사춘'이라 푸념을 하기도 하지만, 대구경북 사람들의 올봄은 정녕 춘래불사춘이다. 오로지 수도권만 존재하는 대한민국의 지방이란 '호지'(胡地)에 사는 이등 국민들이 맞이하는 봄이 어찌 '불사춘'이 아니겠는가.

오늘은 전국에 봄비가 내렸다. '이 비 그치면 내 마음 강나루 긴 언덕에 서러운 풀빛이 짙어 오것다' 영남인들의 상실감은 이수복 시인의 '봄비'에도 스며 있다.

조향래 북부본부장 bulsaj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