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 '차이나우드' 우시, 문화대국 꿈이 영근다

3조원 투입 영화·공연 국가영상산업단지 조성

중국의 차이아우드를 꽃피울
중국의 차이아우드를 꽃피울 '우시국가디지털영상산업단지'가 완공했을 때의 모습.
'우시국가디지털영상산업단지' 내에 들어설 영화테마파크는 낡은 제철소의 지붕과 기둥을 그대로 살려 지어진다.

대구 중구 KT&G 부지에 문화창조발전소, 문화창작교류센터를 만드는 데 이어 전체 부지 활용 방안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또한 경북도청이 옮겨가고 난 자리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아이디어도 속속 나오고 있다. 공장과 행정기관 터를 어떤 공간으로 만들 것인가가 지역의 새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매일신문은 제철소가 있던 자리를 토대로 미국 할리우드를 능가하는 영상산업단지로 탈바꿈시키고 있는 중국 우시(无錫)를 현장 취재했다. 우시의 사례를 통해 대구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찾아보자는 이유에서다.

중국 장쑤성(江蘇省) 남부에 있는 우시. 인구 700만 명의 신흥공업도시로 중국 내 7위 정도의 소득 규모를 자랑하는 도시다. 한국의 반도체업체 하이닉스와 대구의 대표적인 자동차부품기업 상신브레이크 등이 진출해 있는 지역이다. 공업도시인 이곳에서는 현재 새로운 '문화 실험'이 진행 중이다. 이른바 '차이나우드'를 실현할 대규모 문화단지가 조성되고 있는 것. 경제 부흥에 성공하며 세계 제2의 경제 대국을 이룬 중국이 이제는 문화대국을 꿈꾸며 문화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현장이기도 하다.

◆차이나우드 꿈꾼다

우시 제1의 대학인 강남대학 맞은 편에 조성되고 있는 단지의 정식 명칭은 '우시국가디지털영상산업단지'(无錫國家敎字電影産業園). 영화와 애니메이션, 공연의 모든 것이 몰려 있는 복합단지로 중국 정부에서 영상산업을 발전시키고자 전국에서 처음으로 투자하는 대규모 단지다. 우리 돈으로 총 3조원가량을 투자해 4천656㎢ 부지에 영화 세트장과 제작, 애니메이션 제작, 공연장, 영화테마파크, 인력 육성 및 교육 등 각종 문화콘텐츠 건물이 들어서게 된다. 규모가 워낙 크다 보니 모두 4구역으로 나눠 개발되는데 올 10월 중으로 1차 완공을 계획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센터 등 일부 건물은 이미 완공돼 업체 입주가 진행되고 있다.

이곳은 이른바 '차이나우드'(Chinawood)로 불린다. '차이나우드'는 차이나(China)와 미국의 할리우드(Hollywood)의 복합어로 중국의 할리우드라는 의미다. 중국이 세계적인 영화 제작 산실인 미국의 할리우드를 모델로 영화와 애니메이션 등 영상산업의 산실로 키우겠다는 것. 이를 위해 미국의 아카데미위원회와도 기술 협약을 맺었다. 또 외국의 기술자와 투자자들이 수시로 현장을 방문해 투자 및 기술 상담도 활발하다. 우시국가디지털영상산업단지 유일평 서기는 "우시 지역이 원래 삼국지 등 중국 영화 촬영지로 많이 활용됐다. 이를 발판으로 중국의 대표적인 영화 촬영지 및 제작지로 키우려고 한다"고 말했다.

◆핵심은 제작 기반

단지 조성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무엇보다 중국의 영상산업을 이끌어갈 전문인 양성에 초점을 맞췄다는 것. 우시국가디지털영상산업단지는 이를 위해 해외영상예술아카데미와 활발하게 교류를 진행하고 있으며 전 세계 유명한 3D디지털 제작회사들과 손을 잡고 기업관리와 프로젝트 관리 및 기획, 설비관리 등 여러 방면에서 지속적인 인재 양성을 계획하고 있다.

유 서기는 "단지 조성의 목적이 외국의 우수한 영상물을 보여주며 관광객을 유치하는 것도 있지만 가장 핵심은 이 지역의 인재를 적극적으로 육성해 자체적으로 세계 최고의 영상물을 생산, 제작하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라고 했다. 무석이 베이징이나 상하이와는 비교가 안 되는 지방 도시인데도 중국 최고의 영상물 생산기지로서의 방침을 정하고 인재 양성을 위해 단지 조성 이전부터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우시중한투자교류유한회사 강창원 대표는 "지방도시라는 비슷한 상황인 대구도 단순히 서울 공연을 보여주거나 흉내 내려고만 하지 말고 공연을 생산, 제작하는 부문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서울을 뛰어넘어야 한다"고 했다.

◆기존 시설 최대한 보존

이곳 단지의 특징은 기존 건물의 골격을 그대로 살려 개발한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제철소 부지다. 영화테마파크를 건설하는데 20년 역사의 낡은 제철소의 지붕과 기둥 등을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공사를 하고 있다. 우시디지털영상산업단지 왕 페이(33'여) 전시 담당은 "이 제철소는 중국에서 가장 긴 제철소로 중국에서 역사적인 의미가 있으며 2차 산업의 대표적인 장소가 3차 산업으로 바뀐다는 상징적인 의미도 있다. 이를 관광객들에게 어필하려 한다"고 말했다.

기존에 운하가 다니던 부두도 고쳐 영화 세트장으로 만들 예정이다. 중국은 이처럼 기존 건물의 틀을 최대한 활용하는 사례가 많다고 한다. 이는 경비 절감 차원보다는 중국의 역사를 보여준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강하다. 현지 교민들은 "중국은 역사적 의미가 있으면 사소한 것이라도 최대한 보존하려고 한다. 건축을 할 때 기존 건물을 헐어버리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중국 문화시장에 노크해야

최근 중국은 문화를 키우려고 엄청난 자본을 투입하고 있다. 우시국가디지털영상산업단지와 같은 인프라 조성에 상당한 공을 들이는 것. 하지만 아직 사회주의 영향으로 문화 자체가 편중돼 있고 메말라 있다. 중국의 문화가 전반적으로 스케일은 크지만 감동이 없는 반면 한국 문화는 아기자기한 감동이 있어 중국인들이 한국 드라마나 가요 등에 열광한다. 특히 공연 부문에서는 한국과 비교하면 무척 열악하다. 중장년층이 좋아하는 경극 등 일부 장르에 치우쳐 있고 가끔 공연되는 현대물도 혁명이나 전쟁 등 소재가 한정적이라는 것. 그렇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한국의 예술인들에 대한 시각이 상당히 긍정적이라고 한다.

이를 대구의 예술인들이 잘 활용해야 한다고 현지 교민들은 입을 모은다. 이상원 대표(극단 뉴컴퍼니)가 중국 뮤지컬 '당백호 점추향'의 연출을 맡은 것이 좋은 예라는 것. 강 대표는 "대구의 공연문화가 나름 잘 발달해 있는 만큼 공연 제작자나 배우들이 중국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며 "한국의 소프트웨어와 중국의 하드웨어가 결합하면 윈-윈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우시에서 글'사진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