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00만명 넘게 강제노역 동원…일제징용 피해

일본 북해도 탄광의 노무자 합숙소 조선인들. 지치고 겁에 질린 모습이다.
일본 북해도 탄광의 노무자 합숙소 조선인들. 지치고 겁에 질린 모습이다.

중일전쟁이 길어지면서 일제는 심각한 노동력 부족에 시달렸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일제는 1939년 10월 1일 국민 징용령을 시행, 필요한 인력을 징발했다. 초기에는 모집 혹은 관(官)의 알선 형식을 취했지만, 곧 강제성을 띠었다. 1945년 일본이 패망할 때까지 100만 명이 넘는 조선인이 군수공장, 비행장 건설현장, 탄광, 토목 공사장 등으로 끌려가 일했다. 일제는 경상북도에서 징용자를 차출하기 위해 대구 경찰서의 협조를 얻어 징용에 나서기도 했다. 징용은 해당 지역 경찰서장의 지휘 아래 노무직원을 따로 고용해 이루어졌다.

학자에 따라 일제에 강제징용된 사람의 숫자는 650만에서 840만 명까지 다르다. 일본으로 징용된 사람이 100만, 조선국내에서 동원된 자가 450만, 군인 군속이 37만으로 약 600만 명이라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1940년 현재 600만 혹은 840만 명은 당시 20세에서 40세 조선인 남자의 총수가 321만 명인 점에 비춰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 면밀한 조사와 증명이 필요하다.

어쨌거나 고향을 잃어버린 사할린 동포들, 일본 우토로의 조선인들, 500명 이상의 징용자를 태우고 가던 중에 미군 잠수정에 격침돼 침몰한 옛 일본 육군의 징용선 다이헤이마루(太平丸), 해방 뒤 조선인 3천 명 이상을 태우고 귀국하던 중 침몰한 우키시마(浮島)호, 곳곳의 광산과 전장에서 이름도 남기지 못하고 죽어간 조선인 징용자 문제는 오늘날 우리가 풀어야 할 과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