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부터 대구경북지역에서 모래 품귀현상이 빚어지면서 골재와 레미콘가격이 크게 오르고 있다. 특히 낙동강사업 종료로 인해 더 이상 채취할 모래가 사라지고, 경북 시'군이 준설한 모래 대부분을 해당 지역 업체로 판매를 제한하는 바람에 모래 대란 사태가 임박해졌다.
◆공급 가능한 골재는 5년치
4월 현재 낙동강을 낀 경북 5개 시'군이 야적장에 보관하고 있는 골재는 1천400만㎥가량이다. 이는 해당 시군에만 판매하더라도 약 5년치에 해당하는 양에 불과하다.
경북에서 가장 많은 양을 보관하고 있는 상주시는 적재해 둔 골재 580만㎥ 가운데 모래와 자갈로 분리하는 가공공정을 거쳐 현재까지 19만㎥를 판매했다. 지난 2월 1차분 10만㎥를 판매한 이후로 3차례 3만㎥씩 판매하면서 소진기간을 3개월로 잡았으나 골재 구매차량이 몰려드는 바람에 2개월 만에 동이 났다. 상주시는 1차분 판매 때 대구와 경북지역 타 시'군에서 골재를 사러 몰려든 차량이 2㎞나 줄을 서는 등 수요가 몰리면서 2차분부터는 아예 지역업체로 판매 대상을 제한했다.
상주시는 앞으로도 지역제한 판매를 할 계획이지만, 경북도 등에서 지역 제한을 풀도록 지속적으로 요청함에 따라 앞으로 골재가격을 올려 지역 제한을 푸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구미지역은 옥성면 농소리에 4대강 사업 후 발생한 준설토 430만㎥ 중 400만㎥를 보관하고 있는데, 역시 판매를 구미지역으로 제한하고 있다. 현재 구미지역 골재 수급에는 문제가 없지만 타지역 골재업자 등은 판매 자체를 제한하는 바람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칠곡군의 경우 전체 골재 보유물량은 220만㎥ 중 오평지구에서 지난해 말부터 이달 초까지 45만2천㎥를 판매하면서 1주일 중 2일은 지역업체에 국한해 판매했다. 군은 다음 달 중순부터 남율지구의 골재 60만㎥를 하루 3천㎥씩 6개월 동안 판매할 계획이다. 이곳의 경우 현재까지 외부업체 판매제한 여부를 결정하지 않고 있다.
성주군은 현재 용암면 동락골재적치장에 총 100만㎥의 골재를 보관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2만3천440㎥를 지역업체에 한해 판매했다. 고령군도 총 148만8천㎥ 중 오곡 및 송곡적치장의 물량은 모두 판매했고, 포리적치장에 보관하고 있는 49만2천㎥ 중 6만9천㎥를 6월 말까지 지역 내 업체로 제한해 판매할 예정이다.
◆대구경북 레미콘업체와 시공사의 우려
대구경북지역 모래 품귀현상으로 가격 인상과 함께 공급 차질사태를 빚고 있다. 레미콘 업체들은 모래를 못 구해 아우성이고, 시공업체들은 이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공사차질을 우려하고 있다.
모래 품귀현상이 지속되면서 레미콘 가격도 지난해보다 크게 오른데다 생산량도 예전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현재 레미콘가격은 ㎥당 5만7천원 선으로, 지난해에 비해 5% 이상 오른 상태다. 통상 레미콘 가격은 고시 가격의 85% 선에서 유지돼 왔지만 최근 들어 92~95%까지 오른 상태에서 유지되고 있다.
김성우'정창구'임상준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