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아파트 시가총액(시총)이 83조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 아파트 시총 2천조원의 4.3%에 해당하는 수치다. 경북은 34조원(1,8%)으로 집계됐다.
부동산114(www.r114.com)는 지난 7월 기준으로 전국의 아파트 1만6천134개 단지, 716만8천941가구의 시총을 분석한 결과 1천924조2천347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부동산이 본격적으로 활황 국면에 접어든 2006년 1천437조원이었던 전국 아파트 시총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천759조원, 거래 침체기인 지난해 1천912조원을 기록했고 올해 2천조원에 육박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아파트 시총이 660조원으로 전체의 34.3%를 차지했다. 이어 경기(576조원, 30.0%), 부산(124조원, 6.5%), 인천(107조원, 5.6%), 대구(83조원, 4.3%), 경남(74조원, 3.9%), 대전(54조원, 2.8%) 순이었다.
2006년 대비 시총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경기도로 나타났다. 신도시 개발 등에 힘입어 7년간 약 97조원 불었다.
같은 기간 시총 변동률이 가장 큰 곳은 378% 상승한 세종시로 시가총액 규모가 3조원으로 집계됐고 부산과 인천은 각각 해운대 신시가지, 송도 신도시 개발로 시총이 가파르게 상승해 100조원을 넘었다.
시총 상위 10% 아파트는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82%가 밀집해 있고,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에 11%가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별 시총 1위는 서울 송파구 잠실 파크리오 아파트(5조5천873억원)가 차지했고, 지방에서는 부산 화명동 롯데캐슬카이저가 2조3천321억원으로 시총 18위에 이름을 올렸다.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