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 없는 긴 가뭄으로 경북지역 곳곳에 생활 및 농업용수가 바닥나면서 소방차로 식수를 공급하고, 논밭에 물을 뿌려주는 등 농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비상이 걸렸다. 특히 밭작물이 말라 죽거나 과일도 생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등 피해가 크게 확산하면서 하천 굴착, 소형 관정 개발, 양수 장비 지원, 제한급수 등 대책 마련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경주 덕동댐을 비롯해 입실지, 남사지 등 경주지역 저수율이 지난해 평균보다 30%나 줄어든 52.6%에 머무는 등 포항'영덕'울진'안동'청송'영양 등 동해안지역과 북부지역 곳곳의 저수지와 댐 등이 장기 가뭄으로 물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이 때문에 경산시 용성면 매남4리 주민들은 지난달 25일부터 경산소방서 소방차를 통해 먹는 물을 받고 있으며, 울진지역 북면 두천2리를 비롯한 10여 개 마을 주민들도 차량을 통해 물 공급을 받고 있는 등 식수난이 심각한 상황이다. 또 영덕군 창수면 132가구와 울릉군 도동'저동리 등에도 제한급수가 시행돼 제때 생활용수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생활용수와 함께 농업용수마저 고갈되면서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장기 가뭄으로 포항시 청하'동해'호미곶면, 구룡포읍 등지 논 397ha가 물 공급이 제대로 안 돼 논이 갈라지면서 피해를 입고 있다. 특히 고추'콩'옥수수'고구마 등이 말라죽거나 잎이 노랗게 변하는 등 밭작물 피해는 더 심각한 상황이다. 청송 6천ha, 포항과 경주지역 238ha와 40ha, 울진 100여ha 등을 포함해 밭작물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또 안동과 예천의 사과, 경주의 배 등 일부 과수도 생육이 지연되는 등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물 부족과 농작물 피해가 확산하면서 지자체들이 대책 마련에 애쓰고 있다.
경북 각 시군은 소형 관정을 개발하고 하천을 굴착하면서 물을 조금이라도 더 확보하고, 양수기와 송수호스를 동원해 논밭에 물을 끌어올리는가 하면 소방당국과 협조해 긴급 식수공급에 나서고 있다. 사회2부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