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나 프로 골퍼들의 티샷은 왜 페어웨이에 안착될까? 왜 항상 공이 스트레이트로 뻗어나가는 것일까? 나도 스트레이트로 볼을 보내야만 하나? 스트레스가 아닐 수 없다. 대부분의 우리나라 골프장에는 OB구역이 존재한다. 아마추어 골퍼들은 티샷의 긴장감 때문이기도 하지만 페어웨이에 공을 안착시키기 위해 다양한 구질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스트레이트 구질로만 페어웨이 공략을 시도한다. 스트레이트를 고집하면 할수록 스트레스는 가중된다.
그러나 골프공의 구질은 스트레이트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슬라이스와 훅을 비롯해 페이드와 드로우 등 다양한 구질이 존재한다. 또한 세계 유명 선수들 역시 스트레이트 구질보다는 드로우나 페이드 구질로 페어웨이 공략을 선호한다. 물론 스트레이트 구질로 페어웨이를 매번 공략할 수만 있다면 좋겠지만 스트레이트 구질은 말처럼 쉽지 않다.
그렇다면 스트레이트 구질이 아니라 골퍼의 다양한 구질에 따라 페어웨이를 공략하는 법을 만들어내야 한다. 방법은 구질에 따라 티잉그라운드를 넓게 활용하는 것이다. 유심히 관찰해보라. 대부분의 주말 골퍼 열에 아홉은 티잉그라운드 중앙에서 페어웨이 중앙을 바라보며 티를 꽂거나, 티샷의 긴장감 때문인지 티잉그라운드에 올라서 가장 가까운 곳에 티를 꽂는다. 독자도 아마 그럴 것이다. 이렇게 준비를 하고 샷을 시도하면 티샷한 공은 항상 스트레이트로 뻗어나가는가? 아닐 것이다. 그만둘 수도 없는 법이니 공략법을 만들어내야 한다.
가장 편안하고 자신 있게 스윙을 했을 때 공이 슬라이스가 난다고 가정해보자. 만약 티잉그라운드 중앙에서 페어웨이 중앙을 바라보고 샷을 시도했다면 코스 오른쪽으로 OB가 날 것이다. 반대로 티잉그라운드의 오른쪽에서 페어웨이의 왼쪽을 바라보자. 공이 슬라이스로 휘어나가는 만큼이나 페어웨이가 넓어져 보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코스 공략은 구질에 따라 티잉그라운드와 페어웨이를 대각선으로 활용하는 코스 공략법이다. 다시 말해 슬라이스나 페이드 구질을 가진 골퍼는 티잉그라운드 오른쪽에서 코스의 왼쪽을 공략하고, 드로우나 훅 구질을 가진 골퍼는 티잉그라운드 왼쪽에서 코스의 오른쪽을 공략하는 것이다. 즉 티를 꽂는 위치를 어떻게 선정하느냐에 따라 페어웨이의 넓은 곳을 공략할 수 있다.
위에서 예를 든 것처럼 티잉그라운드의 사용법을 숙지하고 페어웨이를 공략한다면 공의 구질에 대한 스트레스 없이 자신감 있는 샷으로 OB 없는 라운딩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이현우 프로 KPGA 프로'전 남자골프대표팀 코치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