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산업 경쟁력이 미국, 영국 등 금융 선진국 대비 66점에 불과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150개 금융기관 CEO를 대상으로 '금융산업 미래와 경쟁력 강화에 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미국, 영국 등 금융선진국을 100점이라고 할 때 국내 금융산업 경쟁력은 얼마인가'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평균 66.3점으로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업종별로 보면 전 업종이 70점을 밑도는 가운데 은행 69.3점, 보험 66점, 여신금융 65.8점, 증권 62.8점, 자산운용 60.8점 순으로 조사됐다.
국내 금융산업 경쟁력을 위협하는 리스크요인으로 CEO들은 '저성장'저금리 시대에 따른 수익기반 약화'(37.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미국의 단계적 출구전략 실시'(25.6%), '회사채 시장 등 자본시장 경색'(15.3%), '글로벌 금융규제 강화 추세'(13.3%), '중국경제 성장 둔화'(8.3%) 등을 우려했다.
금융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급한 과제로 '금융산업에 대한 규제완화'(46.4%)를 요구하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금융 전문인력 확보'(19.9%), '금융 관련 인프라 확충'(15.2%), '해외진출 확대 등 금융사 수익구조 다변화'(11.3%), '금융사 규모의 대형화'(7.2%)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투자은행(IB) 활성화, 대체거래소(ATS) 도입 등을 골자로 지난달 29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개정된 자본시장법에 대해서는 대다수 CEO들이 긍정적인 의견을 내놨다. 개정된 자본시장법 시행이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응답자의 61.4%가 '긍정적이다'고 답해 '부정적이다'(13.9%)는 답변을 크게 앞섰다.
이와 함께 정부가 추진 중인 창조경제 지원을 위한 금융산업의 역할에 대해서는 '중소'벤처기업 자금지원'(33.1%)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금융 인프라 개선 및 확충'(23.1%), '신성장동력 산업 지원'(18.9%), '글로벌 인력 양성'(16.5%), '해외프로젝트 수주 지원'(8.4%) 등이 뒤를 이었다.
향후 예상되는 금융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로는 '새로운 수익모델 확보경쟁 심화'(37%),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22.3%), '금융의 사회적 책임 수행'(19.6%), '스마트 금융의 보편화'(12.4%) '비용효율화 및 고부가가치 신상품 개발'(8.7%) 등이 제시됐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