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5일로 예정됐던 이산가족 상봉을 일방적으로 연기했다. 불과 나흘 앞두고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성명을 통해 몽니를 부렸다. "남조선 보수 패당의 무분별하고 악랄한 대결 소동" 때문이라는 이유 등을 내세웠다. 가족을 만난다는 꿈에 부풀어 상봉을 준비하던 이산가족들은 충격에 빠져 있다.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 이후 무르익어 가던 남북 대화 분위기도 다시 경색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북한이 돌연 이산가족 상봉 연기 카드를 꺼낸 것은 자충수다. 남북관계의 주도권을 남에 내어주었다는 초조함이 묻어난다. 원칙을 앞세운 대북 정책의 결과 박근혜정부의 지지율은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북한은 지지부진한 금강산관광 재개 등의 현안을 부각시키고 남에 내준 주도권을 되찾기 위해 이산가족 상봉 연기라는 악수를 뒀다. 이미 명단까지 주고받은 이산가족 상봉을 일방적으로 연기한 것은 의도가 무엇이건, 속사정이 어떻든 간에 그들이 여전히 믿을 수 없는 집단임을 대내외에 알리는 것일 따름이다.
북한이 상봉 연기를 선언하자 정부는 금강산에 머물며 이산가족 행사를 준비하던 남측 선발대 전원을 철수시켰다. 정부가 북 발표 하루만에 선발대 전원 철수란 강경책을 택한 것은 인도적 차원의 이산가족 상봉을 정치적으로 풀려는 북한의 술수에 말려들지 않겠다는 분명한 의지 표현이다.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이라는 인도적 사안을 정치적 문제와 결부해서는 안 된다.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한 12만9천여 명중 사망한 사람이 5만6천500여 명에 이른다. 생존한 신청자의 80%가 70대 이상의 고령층이다. 매년 4천 명이 생이별의 한을 품고 눈을 감는다. 어떤 이유에서건 북한이 절대 걸고 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 이산가족 상봉 문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