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교과 공부만 충실땐 선택폭 좁아…자신만의 전략 마련을

대입 제도가 변화하면 학생들의 대비 방법도 바뀌어야 한다. 무턱대고 교과 공부만 충실히 하면 될 것이란 생각으로 고교 생활을 하다가는 3학년이 되어 선택의 기회 자체를 놓칠 가능성이 크다. 다양한 변화가 있는 대학 입시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그 어느 때보다 수험생 자신만의 준비 전략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성적대별로 기본적인 입시 전략을 소개한다.

◆최상위권=내신과 모의수능 성적이 좋은 최상위권 학생들은 정시 전형 외에도 학생부 위주, 논술 위주 전형 모두를 준비해야 한다. 학생부 위주 전형에 대비하기 위해 지원 학과와 관련된 다양한 교과, 비교과 활동을 축적해야 한다. 학생부 종합 전형 경우 교과 성적이 좋다고 합격이 보장되는 것이 아니어서 전공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등을 꾸준히 해야 한다. 학생부 종합 전형을 준비하는 학생은 1, 2학년 때 자기소개서를 미리 작성해 보는 것이 좋다. 자신의 진로에 대한 현재의 상황을 인식함과 동시에 앞으로 어떠한 활동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점검의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논술 전형은 인문계열 학생 경우 수능과 상관없이 사회교과 영역 전반에 걸쳐 고른 학습이 필요하다. 자연계열 학생은 과학영역의 물리, 화학, 생명과학 가운데 1과목 이상을 심도 있게 학습할 필요가 있다. 최소 1개 영역은 Ⅱ과목까지 이수하는 것이 좋다.

◆상위권=최상위권으로 도약하기 위해 자신의 현재 수준을 객관적으로 점검, 그에 맞는 학습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내신이 2등급대이면서 논술에 자신이 있다면 주요 상위권 대학의 학생부 종합 전형과 논술 전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사범계열을 비롯한 인기학과에 지원하는 경우라면 3학년 1학기까지 내신을 보다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내신은 저조한 반면 모의고사 성적이 2등급 내외라면 수능형 학습과 논술 학습을 동시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최상위권 도약을 위해 취약 과목을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내신 등급을 올리기 어렵다면 수능과 논술에 초점을 맞추는 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중위권=내신과 모의고사 성적이 3, 4등급인 학생들은 성적이나 비교과에 대해 철저히 분석해야 한다. 자신의 강점을 파악해 수시와 정시 중 전략적 선택을 해야 하며, 비교과나 논술시험에 대한 우위가 없다면 정시에 집중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논술 준비를 잘 한다면 수도권이나 지방 국립대 합격이 가능하지만 경쟁률이 높아 쉽지는 않다.

무리하게 수시에 치중해 학습 전략을 짜면 정시 준비에도 소홀하게 돼 수능마저 망치는 경우가 많다. 수시 전형은 합격 가능성에 따른 우선순위를 두고 준비해야 한다. 정시 대비를 위해서는 영역별 가중치를 생각해 모집단위나 전공에 유리한 영역을 집중적으로 준비해 나가야 한다.

◆하위권=내신이나 모의고사 성적이 5등급 이하인 학생이라면 일반적으로 4년제 대학 입시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논술 준비가 잘 돼 있는 학생이라면 수시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없는 수도권 대학에 합격할 가능성이 있으나, 대부분은 정시에 치중해 수능 기본 실력을 쌓는 것이 유리하다. 학교 내신 시험을 대비하면서 기본적 개념을 익히고 국어, 영어, 수학 가운데 취약 부분을 철저히 복습해 기본적 개념을 다지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김기영 매일신문 교육문화센터 연구실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