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1국가산업단지는 섬유 등 한계산업 공장들의 휴폐업이 잇따르면서 제조업체 유치취지를 상실한 부지가 65만㎡에 이른다.
8개사의 공장 부지는 제조업이 아닌 창고 임대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 중 A 기업은 15년 이상 공장 부지를 창고 임대로 사용하고 있다.
또 한국전기초자, 메르디안 솔라 앤 디스플레이(MSD) 등 휴폐업했거나 정상적인 경영을 하지 못하는 기업체 부지들도 장기간 방치되고 있어 산업용지를 필요로 하는 기업체들이 용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TV 브라운관(CRT)용 유리 생산업체이던 옛 한국전기초자 구미 1공장 부지는 2010년 말 업종 전환에 따라 회사가 정리된 후 여전히 공터로 방치되고 있다. LG전자 흑백 TV 모태 공장이면서 옛 LG필립스디스플레이 공장이었던 MSD 공장 부지 23만여㎡도 2011년 11월 자금난으로 부도가 난 후 지금까지 공장 문을 닫고 있다. 공장 부지가 워낙 큰 탓에 인수자가 선뜻 나서지 않는 상황이다.
또 일부 대규모 공장용지가 마구잡이식으로 소필지씩 분할 매각돼 산단의 규모 영세화는 물론 주차공간 부족 등으로 근로자들의 근무 환경이 갈수록 열악해지고 있다.
구미의 근로자들과 경제지원 기관 및 단체 관계자들은 "구미 1단지의 슬럼화가 빨라지고 근무 기피 현상으로 인력난 등의 악순환이 빚어지는 만큼 리모델링'구조고도화 사업을 하루빨리 시행해 일하고 싶은 산단으로 공간이 재편돼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