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노후산단 재생 급한데, 지역이해 얽혀 못본체

정부 구조고도화사업 설명회도 못열어

박근혜 대통령의 창조경제 추진에 따라 정부가 노후 산업단지 리모델링'구조고도화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으나, 구미 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한 대구경북은 참여 열기가 높은 다른 시'도와는 달리 전문가 토론회조차 열지 못하는 등 외면받고 있다.

국토교통부'산업통상자원부 등은 지난달 25일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3차 무역투자진흥회의 때 노후 산업단지의 리모델링'구조고도화를 통해 산업단지를 청년층이 선호하는 창의'융합 공간으로 재편하겠다고 보고했다.

착공 30년이 넘어 구조고도화'재생 등이 필요한 전국의 25개 산업단지를 선정, 산단에 TP'시험인증기관'디자인센터 등 산업기반시설을 이전 집적해 혁신역량을 강화하고, 보육시설'도서관'문화센터'공동 기숙사 등 문화'복지'편의시설을 대폭 확충하는 등 공간재편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관련 부처는 이날 대통령 보고회에 앞서 7월부터 산업단지 노후화에 대한 문제 제기와 공론화를 위해 수도'충청'대구경북'동남'호남권 등 5개 권역별로 입주기업 대표, 지역 국회의원 및 경제단체장 등이 참석하는 산업단지 창조경제 거점화 포럼을 열었다.

그러나 도청, 시'군 등이 적극적으로 나서는 수도'충청'동남권 분위기와는 달리 대구경북권은 설명회조차 열지 못하고 있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이 8월 구미에서 개최하기로 했던 대구경북권 포럼은 구조고도화에 대형유통시설 입점 등이 사업계획에 포함돼 영세상인의 반발 등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아예 열지 못한 것.

그러나 구미의 상당수 주민, 근로자, 경제단체 등은 구미 1산단이 조성된지 40년이 넘어 노후화 문제로 기업 경쟁력 저하 등 문제가 본격화되는 만큼 산단을 복합용도로 개발하는 등 구조고도화를 통한 재창조 사업 시행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같은 지적은 21일 구미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구미산단 선진화 방안에서도 제기됐다. 이날 주제발표 및 패널로 참가한 경제 전문가들은 "대통령이 의지를 갖고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지역의 이해 관계 때문에 어려움이 있다면 거버넌스 시스템을 구축해 정부가 추진하는 리모델링'구조고도화 사업에 하루빨리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미 1산단은 입주기업의 휴폐업 증가로 빈 공장부지가 느는 등 슬럼화 현상은 물론 노후화의 부정적 이미지로 청년층의 산업단지 근무 기피현상이 심화돼 인력난이 가중되는 실정이다.

한국산업단지공단 관계자는 "대통령의 창조경제 추진에 따라 시도되는 일들이 지역의 이해관계 때문에 설명회'공청회조차 열지 못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고 말했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