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비염과 더불어 '계절성 알레르기' 질환의 한 증상이다. 원인은 꽃가루가 가장 흔한 것으로 꼽힌다. 봄에는 소나무, 오리나무, 사나무 등 수목의 꽃가루가 원인이 된다면 가을에는 쑥, 돼지풀 등의 잡초의 꽃가루가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일으키게 된다.
◆가을철 안구건조증과 만나면 더 위험=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눈꺼풀 안쪽에 존재하는 눈의 흰색 부위의 점막인 결막이 알레르기성 물질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증상이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걸렸을 때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가려움증이다. 눈물이 많이 나기도 하며 빨갛게 충혈되기도 한다. 증상이 심해지면 눈을 비빌 때 끈끈한 분비물이 나오기도 하며, 결막이 부풀어 오르기도 한다.
누네안과병원 박지현 원장은 "안구건조증이 있다면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심해지지 않게 더 주의해야 한다"며 "각막이 건조할 경우 갖가기 먼지와 오염물질이 달라붙기 쉽고, 눈물이 부족해 이물질을 배출하기 더 어렵기 때문"이라고 했다.
만약 눈 주변이 심하게 부어 오르거나 통증이 계속된다면 각막 상피에 이상이 생겼을 위험이 높다. 따라서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안약을 의사 처방도 없이 함부로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녹내장이나 백내장 등 더 큰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재발 잦기 때문에 예방이 최선=치료는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피하는 것이 최선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꽃가루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완치보다는 증상 완화를 목적으로 한다.
꽃가루가 심해지는 날에는 인공눈물을 갖고 다니며 눈 표면의 알레르기 유발 물질들을 재빨리 씻어내는 방법을 추천한다. 가끔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생기면 소금물로 눈을 씻는 사람이 많은데 소금물은 오히려 눈을 더 자극할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
안약 사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깨끗한 물에 눈을 대고 깜빡이거나 얼음찜질을 하면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공기 중에 떠다니는 꽃가루와 다시 접촉하게 되면 증상이 재발할 수 있다.
꽃가루가 공기 중에 많이 떠다닌다는 점을 감안해 집 안이나 차 안으로 꽃가루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꼭 닫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꽃가루가 많아지는 오전 시간에는 외출을 삼가고, 외출 후 집으로 돌아오면 샤워를 하고 옷을 갈아입어 모든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또한 꽃가루가 심한 날에는 가급적 렌즈 대신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부득이하게 안경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렌즈의 소독 및 관리를 보다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렌즈로 인해 눈이 보다 쉽게 건조해지며, 렌즈로 인한 각막염이 더 쉽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8시간 이상 착용하는 것은 피하는 편이 좋다.
◆집에 있는 오래된 안약은 사용 피해야=알레르기성 결막염이 심할 경우 약물치료로는 안약 형태의 항히스타민제, 비만세포안정제, 스테로이드 점안제, 혈관수축 점안제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증상이 심하면 먹는 약을 사용하기도 하며 안약을 일정기간으로 사용해 재발을 막도록 한다.
그러나 결막염에 걸렸을 경우 대부분 과거에 썼던 안약을 찾아 사용해 오히려 증상을 더 악화시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안약의 사용기한은 개봉 후 한 달이다. 그러나 개봉 후 일주일만 지나도 안에서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
안약 용기나 상자 표면에 사용기한이 써 있지만 이는 개봉하지 않았을 때의 유통기한임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약을 개봉했을 때 날짜를 안약병에 적어 두는 것이 좋다.
또한 안약 점안시 병의 끝부분이 눈꺼풀 및 속눈썹에 닿으면 내용물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내용물의 색이 변했거나 뿌옇게 흐려진 것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특히 다른 사람과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은 피한다.
도움말=누네안과병원 박지현 원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