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삼겹살에 한 잔, 치킨에 두 잔 "위·간은 괴롭다"

연말이면 각종 모임에서 술을 먹는 일이 많아지는데 이때는 칼로리가 낮은 안주를 섭취해 체중과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좋다. 매일신문 DB
연말이면 각종 모임에서 술을 먹는 일이 많아지는데 이때는 칼로리가 낮은 안주를 섭취해 체중과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좋다. 매일신문 DB

송년회 등 연말 술자리와 회식이 늘면서 칼로리에 대한 부담이 만만치 않다. 소비자문제 연구소 컨슈머리서치가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도수가 높은 술'일수록 칼로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도수가 낮은 술의 경우 마시는 용량이 많아지므로 모든 주류를 1잔 기준으로 칼로리 순위를 매겼다.

◆도수가 높을수록 칼로리도 높아

칼로리가 가장 높은 술은 1잔(500㏄)당 185㎉인 생맥주였다. 알코올 도수 자체는 4%로 주류 중 가장 낮았지만 용량이 500㏄로 가장 많기 때문이다. 반대로 소주는 한잔 기준(50㏄)으로 따지면 18.5㎉로 가장 낮았다.

50㏄ 기준 칼로리가 가장 높은 술은 알코올 농도 40%인 고량주였다. 한 잔을 마시면 140㎉를 섭취하게 되며, 한 병인 250㏄를 마실 경우 690㎉로 밥 2공기 열량이 훌쩍 넘어간다.

포도주도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그중에서도 화이트와인(140㎉)이 레드와인(125㎉)보다 약 15㎉가 높았다. 1잔당 200㏄로 계산했을 때 막걸리의 칼로리는 110㎉였으며, 50㏄ 기준으로 계산했을 때도 27.5㎉로 낮은 편이었다.

위스키 등 양주는 도수가 높아 대부분 칼로리가 높았다. 위스키 패스포트를 기준으로 40㏄ 한 잔을 마시면 110㎉, 360㏄ 한 병을 다 마시면 무려 1천㎉를 섭취하게 된다.

소주는 알코올 농도 25% 기준으로 한 잔에 90㎉를 기록했다. 최근 저도주가 유행하면서 많이 팔리는 도수인 18.5%의 소주는 1잔당 약 60㎉ 정도이며, 한 병(360㏄)을 다 마시면 25%는 690㎉, 18.5%는 450㎉가량의 열량을 섭취하게 된다.

가장 칼로리가 낮은 술은 샴페인으로, 한 잔(150㏄)을 마셨을 때 65㎉에 불과했다. 맥주와 마찬가지로 도수가 낮기 때문이었다.

◆살찌는 건 고칼로리 안주 때문

술은 열량이 꽤 높은 편이지만 그 칼로리가 그대로 흡수돼 살이 찌는 것은 아니다. 술자리가 잦은 사람들이 살이 찌는 원인은 주로 술 때문이라기보다는 고칼로리로 이뤄진 술안주 섭취의 영향이 크다.

술의 열량이 높긴 하지만 에틸알코올은 분자가 작고, 다른 영양소가 없기 때문에 체지방으로 축적되지 않는다. 즉 알코올의 열량으로 에너지를 대사할 수는 있지만, 그 열량이 탄수화물이나 지방같이 몸속에 저장되지는 않는 것이다. 이 때문에 술의 열량은 '텅 빈 칼로리' 혹은 '공칼로리, 빈 열량 식품'으로 불리기도 한다.

술이 살로 가는 것은 술과 같이 먹는 음식 때문이다. 대부분 고칼로리로 이뤄져 있는 술안주를 섭취할 경우 우리의 몸은 술의 열량을 먼저 소비하기 때문에 거의 소모되지 않은 채 쌓이게 된다. 이렇게 쌓인 열량은 대부분 지방으로 전환되고 알코올이 체내에 흡수되면서 지방대사까지 관여하게 되면서 열량의 상당 부분이 복부지방으로 축적된다. 이 때문에 술을 먹으면 복부지방이 쌓이면서 배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술안주로 즐겨 먹는 삼겹살의 경우 1인분(200g)에 650㎉, 맥주 안주로 즐겨 찾는 양념치킨의 경우도 1조각(50g)에 250㎉로 고칼로리 음식들이다. 이 때문에 1, 2차로 이어지는 술자리에서는 일일 섭취 권장 칼로리를 훌쩍 넘는 일이 다반사다.

컨슈머리서치 최현숙 대표는 "늦은 시간에 술을 한두 잔씩 기울이다 보면 폭식을 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며 "위와 간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과음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특히 고열량 안주보다 과일 등 열량이 낮으면서 비타민이 함유된 안주를 먹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