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나노바이오연구부는 자연현상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미케노발광필름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나노바이오연구부 정순문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미케노발광재료(ZnS, 황화아연)를 유연한 고무에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밝기 및 수명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산업분야에 적용하는 기틀을 마련했다.
미케노발광 기술분야는 그동안 발광원리 규명이 불투명해서 학문적 흥미로만 다뤄졌다. 이 기술은 바람, 진동 등 자연현상에 따른 기계적 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시키기 때문에 상용화되면 환경 및 자원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기술로 꼽힌다.
연구팀은 두 가지 이상의 미케노발광재료를 조합해 다양한 미케노발광색 및 백열전구의 온백색을 구현, 디스플레이 및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재료공학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저널 11월 20일자 표지논문으로 출간됐다. 정 연구원은 "수백 년 동안 난제로 여겨지던 미케노발광 기술을 응용한 것에 의의가 있다"면서 "원천기술을 확보하면 디스플레이 및 조명 분야의 융·복합을 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