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그린 코리아 몽골서 꽃피다] ⑥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끝>

'메마른 땅' 몽골에 산림녹화 신화 쓴다

토진나르스 숲 일대에서 밤에 바라본 하늘. 별들이 막 쏟아질 것만 같다. 사막화가 지금과 같은 속도로 진행되면 시야가 흐려져 이런 별들을 보는 것도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많다.
토진나르스 숲 일대에서 밤에 바라본 하늘. 별들이 막 쏟아질 것만 같다. 사막화가 지금과 같은 속도로 진행되면 시야가 흐려져 이런 별들을 보는 것도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많다.
경북대 김판기 교수.
경북대 김판기 교수.
동북아산림포럼 최현섭 이사장.
동북아산림포럼 최현섭 이사장.

2004년 12월 쓰나미로 인해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산림지대인 맹그로브 숲(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염분이 있는 해안가나 강어귀에서 자라는 수목을 의미)이 황폐화됐다. 이런 곳을 2006년 5월부터 2년간 우리가 나서서 성공적으로 복원했다. 이는 우리의 우수한 산림녹화 기술을 증명하는 단적인 사례다.

우리나라는 동남'동북아시아에 다양한 산림 원조를 해왔다.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최단기간에 녹화 강국으로 성장한 우리나라를 원하는 국가들이 많다는 증거다.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Asian Forest Cooperation Organization)도 지난해 7월 발족했다. 우리나라의 산림 신화를 전 세계에 전파는 국제기구다. 전 세계 산림의 20%를 차지하는 아세안지역에서 산림분야의 확고한 리더십을 확보하고 한국의 브랜드를 격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향후 탄소배출권 등 기후변화 대응에 관한 주도적인 기능도 여기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만 해도 200만달러 규모의 사업을 진행했다. 인도네시아와는 1987년 처음으로 임업협력협정을 체결했다. 캄보디아에서도 대규모 녹화 및 산림 연구 사업을 한다. 우리가 아세안 지역에서 확고한 산림원조국가가 된 것이다. 최현섭 동북아산림포럼 이사장은 "전 세계 산림 면적의 20%를 차지하는 아세안 지역은 개발도상국이 많아 심각한 산림 훼손이 이뤄지고 있는 만큼 우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했다.

산림녹화 지원의 대표적인 사례는 몽골이다. 몽골 기온은 최근 30년간 5도 이상 상승했다. 몽골 국토의 70%에서 사막화가 진행 중이다. 몽골은 급속한 사막화를 막기 위해서는 숲 조성이 급선무라고 판단, 나무 심기 사업을 대대적으로 벌이기 시작했다. 중국의 만리장성에 빗대서 주선 2천500㎞, 간선 1천200㎞에 대한 녹색 숲 조성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 투입되는 비용은 30억달러. 자금과 기술, 국민들의 관심 모두 부족하다 보니 몽골은 외국에 지원을 요청했다. 여기에 가장 적극적으로 화답한 나라가 대한민국이었다. 우리나라가 몽골의 사막화 방지 사업에 정부 차원에서 참여한 것은 2006년 11월 산림청과 몽골 환경녹색성장부가 정부 대전청사에서 '황사 및 사막화 방지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면서부터. 6개월 전 몽골을 방문한 당시 노무현 대통령에게 남바린 엥흐바야르 몽골 대통령이 사막화 방지를 도와달라는 요청을 했고 노 대통령이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한 것이다.

이후 산림청은 울란바토르에서 서쪽으로 125㎞ 거리에 있는 룬솜에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을 만들어 조림기술 지도, 공동연구, 교육훈련, 국제 심포지엄 개최 및 전문가 파견 등의 협력사업을 벌이고 있다.

산림청의 목표는 몽골의 황사 및 사막화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제고하는 것은 물론 사막화 지역 조림의 성공모델을 개발하는 것. 또 이를 통해 유엔사막화방지기구(UNCCD) 등 국제기구와 동북아 국가들의 사막화 방지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산림청은 룬솜과 고비사막 근처의 달란자드가드솜(울란바토르에서 남쪽으로 580㎞ 지역. 고비사막이 있어 관광지로 유명한데 강수량은 연간 110㎜에 불과)에 사업단을 만들었다. 두 곳의 사업단을 통해 출범 첫해인 2007년 50만달러를 들여 사막화 방지에 나섰고, 이후 10년간 매년 100만달러를 지원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총 128억원을 투입한다. 2016년까지 몽골 사막화 방지 10개년 계획이 끝나면 우리 정부 손에 의해 3천㏊의 숲이 조성된다.

하지만 이것만 갖고 몽골의 사막화를 방지하기는 턱없이 부족하다. 그래서 우리의 민간단체나 기업들이 몽골의 사막화 방지 사업에 동참하고 있는데 문제는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는 비단 몽골뿐만 아니라 동남'동북아 전체에 해당되는 얘기다. 산림청 이외에 기업, 단체, 학교 등이 산림녹화 사업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구체적 현황 파악은 물론 대략적인 숫자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는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판기 경북대 교수(생태환경시스템학부)는 "몽골은 조림부터 육림, 최종적으로는 활용까지 전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면 훨씬 더 큰 산림 원조 효과를 낼 수 있는 지역이 될 것"이라고 했다.

최현섭 동북아산림포럼 이사장도 "몽골은 워낙 땅이 넓고 나무를 심어야 할 곳이 많아 산발적인 조림으로는 전혀 흔적이 나지 않는다. 우리나라가 조성하는 지역을 한 곳으로 특정해서 나무를 심고 관리해야 몽골 사람들도 우리의 노력과 정성을 좀 더 쉽게 알 수 있지 않겠느냐"고 했다.

최 이사장은 "테렐지 국립공원 입구 부근 같은 곳에 우리나라의 숲 기념공원 같은 것을 만들면 원조 효과가 훨씬 높을 것"이라는 제안도 했다. 김판기 교수는 "도시 인근에 나무를 심거나 학교들과 연계해서 식목, 육림 등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분명한 것은 몽골에 대한 산림 지원이 현 상태로 가서는 안 된다"며 "정부가 이에 대한 고민을 깊이 해봐야 한다"고 주문했다.

최정암기자 jeongam@msnet.co.kr

사진'성일권기자 sungi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