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의 국정과제인 창조경제와 정부 3.0, 4대악 근절 등을 실현하기 위한 내년도 예산들이 사실상 정부 원안대로 국회를 통과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 예산결산특위 산하 예산안 조정소위(예산소위)는 최근 비공개 협의를 거쳐 이같이 의견을 모은 것으로 25일 알려졌다.
예산소위는 감액심사에서 보류된 사업들을 재논의하기 위해 새누리당 안종범'이현재, 민주당 윤호중'윤관석 의원이 참여하는 이른바 '2+2 소회의체'를 구성했으며, 이 회의체 논의에서 상당수 예산이 정부안 수준을 유지하는 쪽으로 결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예결위 관계자는 "국정과제 예산들은 대부분 소관 상임위의 삭감 의견만 수용하고 예결위의 추가 삭감은 하지 않는 쪽으로 결론이 났다"고 전했다.
대통령직인수위 멤버인 안종범'이현재 의원은 박근혜정부의 첫 '가계부'인 내년도 예산안에 국정과제 예산을 반드시 반영해야 한다고 요구했고, 민주당 측도 대승적 차원에서 새누리당의 요구를 수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창조경제 사업인 창조경제기반구축 예산 45억원과 디지털콘텐츠코리아펀드 예산 500억원은 별도의 삭감 없이 그대로 반영하기로 했다.
또 창조경제종합지원 서비스 구축'운영 예산 69억원도 상임위 삭감분(20억원)만 수용하되 창조경제타운 운영예산은 모두 의결하기로 했다.
정보 공유를 활성화하는 정부 3.0과 관련해선 공공데이터 개방이용 활성화 예산 182억원과 정부 3.0 변화관리지원 예산 5억원 등을 정부 원안대로 처리하기로 했다.
일자리 정책인 반듯한 시간선택제 일자리창출 지원 예산 227억원은 그대로 반영하고 취업성공패키지 예산 2천246억원은 상임위 삭감분(74억원)만 깎고 통과시키기로 했다.
4대악 사범단속 예산 46억원도 모두 반영하기로 했다.
신설된 대통령직속 위원회인 국민대통합위원회'청년위원회'문화융성위원회 운영예산에 대해서도 예결위 차원의 추가 삭감은 이뤄지지 않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예산소위는 보류사업 120여 건 가운데 80여 건에 대한 논의를 마쳤으며, 정치적으로 민감한 새마을운동'국가보훈처'군 사이버사령부 관련 예산에 대해서는 추가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야당이 국정과제 예산에서는 양보하는 모양새를 취한 만큼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과 관련된 국가보훈처나 군 사이버사령부 예산에서는 더욱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