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사잇길이 밝게 부르는 것 같다.
흐르는 마음이 닦아서 편편해지는 게 길의 힘이어서
산비탈도 길로 내려서면 나른해진다.
길의 출발점이자 종착점인 집에서 나와
가출의 그림자가 길어지는 오후,
아무도 내다보지 않는 기척에도 귀 기울이며
사람들은 제 설렘들을 몰래 그 길에 내어 널어 말린다.
사람들이 오간 기억으로 길은 굽이친다.
아침에 길 쓸며 제 갈 길 닦은 이는 제 길의 은짬에서 낮에 죽고
누가 그를 길 없는 비탈로 밀어 올리는지 가파른 산길이 새로 생겨난다.
그 길은 추억들로 환해지다 닫히리라
바람도 한동안은 그 길로 해서 산자들의 마을길을 기웃거리리라.
아침에 또 누가 그런 바람이 부산하게 다녀간 길을 쓴다.-시집 『상응』(서정시학, 2011)
"길의 출발점이자 종착점인 집"을 무심코 오고가는 일상을 삶의 일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사소한 일상도 느닷없는 곳에서 멈추고 나면 다시는 오갈 수 없는 소중한 길로 남을 것이다. 김소연 시인의 시 「막차의 시간」에는 이런 일상을 "아침이면 방에서 나를 꺼냈다가/ 밤이면 다시 그 방으로 넣어주는 커다란 손길/ 은혜로운" 그 무엇이 있다고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은혜로운 손길도 유한한 인생의 손목을 영원히 잡을 수만은 없을 것이다. 그 손길을 놓치고서야 사무칠 손길이다.
이 시를 읽다 보면 어느 '은짬'에 가서는 느닷없이 구성진 상엿소리가 요령 소리를 타고 들려온다. 일상으로 오고 가던 길 위의 인생이 사설로 풀어지고, 한 번 가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가파른" 북망산 노정이 꿰어진다. 다시 말해서 이 시는 어떤 드라마틱한 삶의 이승과 알지 못할 저승의 이야기를 길이라는 이미지에 농축한 상엿소리다. 이하석 시인 특유의 묘사가 가진 힘이다.
시인 artandong@hanmail.net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