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항공사 승무원 병가율 일반직의 10배

항공사 객실 승무원 병가율이 일반직보다 10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기일 항공정책연구소 소장의 26일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아시아나항공 객실 승무원 3천837명 중 697명(18%)이 병가를 냈다. 척추질환, 중이염, 장염, 위염 등이 주된 병명이다.

이는 아시아나항공에서 같은 기간 일반직(3천907명 중 66명, 1.7%)과 조종사(1천297명 중 167명, 12.9%)가 병가를 쓴 비율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것이다. 이 소장은 시차와 야간근무, 우주방사선 노출 등이 승무원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시차 1시간마다 만 하루를 쉬어야 생체리듬이 회복된다고 보는데 우리나라 승무원은 한 달에 8∼14차례씩 매번 7~19시간의 시차를 겪고 있어 건강 이상이 생긴다는 것.

이 소장에 따르면 3만 피트 이상 고도에서 이뤄지는 야간근무는 유방암'피부암 발병률을 높일 수 있다. 또 뉴욕을 4번 왕복 비행하면 원전에서 1년 동안 일하는 직원과 같은 양의 방사능을 쬔다.

대한항공 조종사 15명의 연평균 비행시간은 899시간으로 에어프랑스 조종사들의 연평균 비행시간(500~600시간)보다 30% 이상 많았다. 이 소장은 "항공승무원의 건강문제는 항공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국가 차원에서 승무원의 피로위험을 관리할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홍준헌 기자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