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 객실 승무원 병가율이 일반직보다 10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기일 항공정책연구소 소장의 26일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아시아나항공 객실 승무원 3천837명 중 697명(18%)이 병가를 냈다. 척추질환, 중이염, 장염, 위염 등이 주된 병명이다.
이는 아시아나항공에서 같은 기간 일반직(3천907명 중 66명, 1.7%)과 조종사(1천297명 중 167명, 12.9%)가 병가를 쓴 비율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것이다. 이 소장은 시차와 야간근무, 우주방사선 노출 등이 승무원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시차 1시간마다 만 하루를 쉬어야 생체리듬이 회복된다고 보는데 우리나라 승무원은 한 달에 8∼14차례씩 매번 7~19시간의 시차를 겪고 있어 건강 이상이 생긴다는 것.
이 소장에 따르면 3만 피트 이상 고도에서 이뤄지는 야간근무는 유방암'피부암 발병률을 높일 수 있다. 또 뉴욕을 4번 왕복 비행하면 원전에서 1년 동안 일하는 직원과 같은 양의 방사능을 쬔다.
대한항공 조종사 15명의 연평균 비행시간은 899시간으로 에어프랑스 조종사들의 연평균 비행시간(500~600시간)보다 30% 이상 많았다. 이 소장은 "항공승무원의 건강문제는 항공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국가 차원에서 승무원의 피로위험을 관리할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홍준헌 기자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