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안 가결로 새누리당은 엄청난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됐다.
당장 당 주도권이 친박계에서 이번 탄핵을 이끈 비주류로 넘어갈 공산이 크다. 나아가 친박-비주류가 결별하는 '분당'으로 가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탄핵에 표를 던진 234표 중 새누리당에서 62표가 포함된 것으로 추정돼 탄핵 저지에 나선 지도부 등 주류 친박계는 박 대통령과 함께 국정농단의 책임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사태 수습의 주도권은 비주류 중심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커졌다. 탄핵안 표결서 예상외로 많은 가결표가 나옴에 따라 비주류는 단순한 캐스팅보트 역할을 넘어 세(勢) 확산을 확인했다. 사실상 '사형 선고'를 받은 지도부 등 친박계를 제치고 당의 중론을 모아갈 힘이 생긴 것이다.
쇄신의 목소리에도 힘이 실리게 되면서 당 체질개선도 예고되고 있다. 비주류 중심의 비상시국회의는 벌써부터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새누리당 해체를 추진하겠다"는 성명을 채택한 바 있다. 그리고 당의 발전적 해체를 위한 첫 단계로 박 대통령 탄핵에 앞장섰다.
'인적 청산'을 위한 논의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화두는 '친박 척결'이 될 가능성이 크다. 힘의 우위를 확인한 비주류는 이를 위해 서청원, 최경환, 윤상현 등 친박 핵심들을 몰아내고 당 해체에 준하는 재창당 논의를 급속하게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건전한 보수'를 기치로 내걸어 흔들린 보수층을 잡으며 급속하게 진행될 대선정국을 준비할 가능성이 크다.
이정현 대표는 "당연히 책임을 질 것"이라며 자신이 사퇴시한으로 밝힌 이달 21일 전에 대표직에서 물러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당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면 바로 그만두겠다"고 했다. 자연스럽게 친박 최고위원 등도 직을 내려놓을 가능성이 있어, 친박 세력은 급속하게 당 뒷면으로 빠질 것으로 보인다.
친박은 2007년 대선 경선부터 박근혜라는 한 명의 정치인을 중심으로 모여든 그룹인 만큼, 스스로 자생하기도 힘들어 보인다. 박 대통령이 정치 무대에서 사라지면 '각자도생'으로 흩어지면서 생명력을 잃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친박계가 버티기에 들어가면, 당분간 큰 혼란에 빠질 수 있다. 현재로서는 비주류가 친박 지도부를 끌어낼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