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교육부의 영남공고 재감사 깊이 새겨볼 때

교사 채용 비리 의혹과 성적 조작, 여교사 술 시중 등 각종 논란이 불거진 영남공고에 대한 대구시교육청의 감사가 이미 세 차례나 실시됐지만 교육부가 다시 나서서 감사를 진행 중이라고 한다. 이번 교육부 감사는 시교육청 감사 결과에 대한 불신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데 지난달 경북도 교육청 국정감사에서 영남공고 재단이사장과 대구시교육감의 친분 관계에 따른 '봐주기식 감사' 의혹이 제기됐고 지역 시민단체의 학교재단과 시교육청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고 있는 게 그 배경이다.

무엇보다 이번 교육부 감사는 시교육청 감사에 대한 신뢰성 문제의 차원도 있지만 영남공고 재단이 안고 있는 갖가지 비리 의혹에 대한 최종 확인의 의미가 크다. 그동안 기자회견 등을 통해 제기된 교사 채용 비리와 성적 조작 의혹, 기간제 교사 채용 과정에서 임신 포기 각서 요구 및 시교육청 장학관 접대 자리에서 불거진 교사의 술 시중 요구 의혹 등은 한마디로 교육기관으로서 부끄럽고 또한 충분히 의심받을 만한 일이다. 한마디로 학교라는 본분을 잊고 마치 사기업과 다를 바 없는 학교 재단의 행태에 대해 지역사회의 우려가 커지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현재 시교육청은 기간제 교사 아버지로부터 3천500만원을 받은 혐의로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인 영남공업교육재단 이사장에 대한 임원 취임 승인 취소 절차를 밟고 있다. 그런데도 교육부가 다시 감사에 나선 것은 그동안 제기된 여러 의혹이 충분히 해소되지 않았고 시교육청이 내놓은 감사 결과 또한 마뜩지 않게 보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런 점에서 '교육도시 대구'라는 자긍심으로 많은 예산을 지원하고 심의해온 대구시나 대구시의회, 시민의 체면 또한 크게 깎이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상황이 이렇게 악화된 데는 재단 이사장의 잘못이 가장 크다. 이사회를 구성하는 이사들이 학교 파행을 막지 못한 잘못도 짚어봐야 한다. 교육부는 이사진의 비리 연루 의혹이나 방조 등을 규명하고 대구시교육청과 학교 재단의 유착 의혹까지도 낱낱이 밝혀야 한다. 이번 기회에 썩은 환부를 도려내지 않으면 교사와 학생의 피해는 갈수록 커질 수밖에 없어서다. 그렇지 않고 그냥 넘어간다면 사학재단의 고질적 병폐인 우회적 보복과 횡포는 자명하다. 엄정히 감사해 조치하기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