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라야 자라야 鱉兮鱉兮(별혜별혜)
너도 엄마를 잃었느냐 汝亦失母乎(여역실모호)
나도 엄마를 잃었단다 吾亦失母矣(오역실모의)
내 너를 삶아 먹을 수도 있지만 吾知其烹汝食之(오지기팽여식지)
엄마 잃은 신세가 나와 꼭 같아 汝之失母猶我也(여지실모유아야)
그래서 너를 놓아준단다 是以放汝(시이방여)
고려말의 선비 길원진(吉元進)이 전남 보성 땅의 대판(大判)이란 벼슬에 임명됐다. 그는 아내와 함께 부임하면서, 여덟 살에 불과한 꼬맹이 아들을 황해도 토산에 있는 처가에다 맡겼다. 워낙 월급이 적어 세 식구가 입에 풀칠을 하기는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하지만, 그게 이유가 되는지는 모르겠다.
난데없이 외톨이가 된 그 아이는 외가에서 어머니가 그리워 눈물을 흘리면서 울부짖었다. 그러던 어느 날 시냇가에서 외롭게 놀고 있던 아이가 주위를 두리번거리면서 이리저리 헤엄을 치고 있는 자라 한 마리를 보게 되었다. 엄마와 헤어져 엄마를 그리워하고 있던 아이의 눈에는 영락없이 엄마 찾아 헤매는 불쌍한 자라였다. 아이는 엄마 잃은 자라를 소재로 한 동시 한 편을 곧바로 지었다. 그것이 바로 위의 작품이고, 그 아이가 바로 고려말 조선 초의 위대한 학자였던 야은(冶隱) 길재(吉再) 선생이다.
여덟 살 꼬마가 쓴 동시답게 설명이 필요 없는 아주 단순하고도 명쾌한 시지만, 작품이 담고 있는 메시지는 참으로 그 의미가 심장하다. 천지간 만물에 대한 동병상련(同病相憐)의 위대한 사랑이 그렇고, 자신의 처지로 남의 처지를 헤아려내는 역지사지(易地思之)의 정신이 그렇다.
"내 나이 아홉 살 때/ 먼 산에 가서 나무를 하다가/ 둥지 속에 들어있는/ 새알 다섯 개를 발견했단다// 이게 웬 떡이냐 싶어/ 아직도 따뜻한 그 알들을/ 주머니에 넣어 돌아오다가/ 송아지를 잃어버린 엄마 소가/ 움모 움모 하며/ 슬프게 우는 소릴 들었단다// 그 울음소리 듣는 순간/ 알을 잃어버리고 땅을 치며 울고 있을/ 엄마 새가 울컥, 떠올라/ 도저히 그냥 올 수 없었단다// 이미 날도 슬슬 저물어/ 천지간에 어둠이 밀려오는데 / 큰마음 먹고 산속으로 들어가서/ 둥지에다 알들을 넣어주고 왔단다// 내가 범에게 잡혀가면/ 땅을 치며 울다가 기절을 하실/ 우리 엄마 모습이 울컥 떠올라서// 도저히 그냥 올 수 없었단다// 야들아, 우야든지 착하게 살아라/ 남의 눈에 눈물 나게 하면/ 결국 내 눈에 피눈물 난단다" 야은의 작품을 읽으면서, 재작년에 높은 산으로 이사를 가신 우리 아버지의 말씀을 동시로 바꾼다고 바꾸어 보았는데, 동시가 됐는지는 잘 모르겠다.
이종문 시조시인(계명대 한문교육과 명예교수)
댓글 많은 뉴스
"尹 지지율 46% 나와…2030 지지율도 40%대 ↑"
전용기 "내란선동 가짜뉴스 퍼나르면 일반인도 처벌" 국힘 "도련님, 카톡은 찢지 말아주세요"
일반인 카톡 검열 논란에 여야 MZ 설전…"공산당식 통제 vs. 불법 방치"
옵티머스 사기 의혹 이혁진, 도피 중 美서 사망
국민의힘 "유튜버 고발·카톡 검열…민주당의 '입틀막'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