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송영길호' 부동산 논란 봉합하니…'경선연기론' 뇌관

오후 경선연기론 논의… 당내 경선 연기 갈등 직면
부동산 투기의혹 12명 탈당 매듭도 숙제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책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책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부동산세 완화' 논란을 가까스로 봉합하자마자 '경선연기 내홍'이라는 또다른 갈등에 직면한 모습이다.

송영길 지도부는 '현행 일정'에 무게를 두고 있으나, '경선 연기론'을 두고 당내 선두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 측과 비(非) 이재명계의 갈등은 더욱 깊어지는 모양새다.

송 대표는 지난 18일 당내에서 분출한 '경선 연기론'과 관련 "대선주자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제가 결단을 내리겠다. 이건 의총 결의사항도 아니고 어떤 면에서는 당무위 의결사항도 아니다"면서 "당무위로 갈 것인지 말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대표의 권한이니 의견을 수렴하고 결정할 생각"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송 대표는 "원칙을 변경하려면 전 후보자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 언행일치를 주장한 송영길 체제에서 말의 원칙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지사가 반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미 정해진 룰을 고치긴 부담스러운 분위기다.

지도부는 이번주 초에는 경선 일정 문제를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으로, 20일 오후 비공개 최고위원회를 열고 경기연기론 관련 의원총회 개최 여부를 논의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 지사 측과 경선연기파의 내홍은 표면화하는 양상이다.

이낙연 전 대표, 정세균 전 국무총리, 이광재·김두관 의원 등을 중심으로 집단행동에 나설 조짐도 일고 있어서다.

이낙연계와 정세균계, 친문계 의원 66명은 18일 경선 일정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 소집 요구서를 제출한 바 있다.

송 대표가 당헌대로 '180일 전 대선후보 선출' 일정을 고수할 조짐을 보이자 반발에 나선 것이다.

정 전 총리 캠프 대변인인 조승래 의원은 논평을 통해 "논의를 막으면 당헌·당규 위배"라며 "의총에서 논의하고 당헌·당규에 따라 6월 중 당무위원회를 여는 것이 정도"라고 비판했다.

이 전 대표 측 정운현 공보단장은 페이스북에서 이 지사가 지난 2017년 대선 땐 경선 연기를 주장했다며 "불리할 땐 규정 변경을 요구하더니 자기가 유리할 땐 규정 고수를 주장한다. 지금은 작은 원칙보다 더 큰 원칙을 중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이 지사 지지 모임 '민주평화광장' 공동대표인 조정식 의원은 입장문을 내고 "경선 연기는 결코 안 된다. 마치 실력 행사하듯이 연판장을 돌리고 지도부를 압박하는 것은 결코 당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의원총회의 안건에도 해당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이에 따라 당 지도부가 현행 일정으로 결정하더라도 당내 후유증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송 대표는 대선주자들을 직접 접촉하며 현행 일정의 불가피성을 설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부동산 비위의혹이 제기된 자당 의원 12명의 탈당 처리도 매듭짓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송 대표가 선당후사를 호소하며 일괄탈당의 결단을 내린 지 2주 가까이 흘렀지만 별다른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일부 의원들은 강하게 반발하며 '수용 불가' 입장으로 버티고 있다.

송 대표는 이번 주 양이원영·윤미향 의원에 대해 제명 조치를 하기로 했으며, 나머지 지역구 의원들에 대해선 설득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국민의 약 70%가 이번 탈당 권유 조치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한다는 여론조사도 나왔기 때문에 계속 시간을 끌며 버티는 모습을 보일수록 외부 비판은 거세질 것"이라면서 "하지만 이를 의식한 지도부가 무리하게 강행할 경우 당내 반발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도 쉽지 않은 문제"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