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여 년간 대구경북에서 최대 난제로 꼽혔던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가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듯하다. 지난 24일 대통령 직속 국가물관리위원회 산하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취수원 다변화 내용을 담은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을 심의·의결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28년까지 낙동강 취수원을 다변화한다.
대구경북이 가장 관심을 가진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와 관련해서는 구미 해평취수장 30만t과 추가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대구에 57만t의 물을 배분하기로 결정했다. 대구가 낙동강 상류 취수원을 공동 이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물론 구미 지역에서 예상된 반발도 이어졌다. 하지만 주민들의 반대 여론은 다행히 제한적으로 표출됐다. 다음 날 구미시청 앞에서 열린 집회에선 취수원 이전 대상 지역인 해평면 주민들은 집회에 나타나지 않았다. 대신 인근 도개·옥성·장천면 주민들이 참석해 사전 동의가 전제되지 않은 통합물관리방안은 원천 무효라고 주장했다. '당사자'인 해평면은 이장협의회가 중심이 되어 "언제까지 반대만 하고 있을 순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됐다"면서 대구경북 상생발전이라는 대의명분과 실리를 선택한 것이다.
반대하는 분들의 우려는 대구와 취수원을 공동 이용함으로써 발생할 상수원보호구역 확대에 있다. 기술적 분석으론 현재의 상수원보호구역으로도 30만t 추가 취수가 가능하다고 한다. 그럼에도 주민들이 재산권 침해를 걱정한다면 구속력 있는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 '해평취수장과 관련해 추가적인 상수원보호구역 확대는 없다'고 환경부가 보증하는 문서를 만들면 된다. 정부와 대구경북 관계 단체장도 확인의 주체로 포함돼야 한다. 이는 장세용 구미시장이 직(職)을 걸고 쟁취해야 할 부분이다.
필자는 앞서 본 난(欄)을 통해 '구미 입장에서 본 취수원 공동 이용 해법'(매일신문 2일 자 27면)에서 장 시장의 해결 의지를 소개한 바 있다. 그가 소명 의식을 갖고 물 문제에 대한 매듭을 풀고자 하는 마음만큼이나 구미 시민들도 기꺼이 동조해 주었다. 구미의 아들딸들이 대구에 사는데 무엇이 아깝고, 대구가 절박한데 구미가 외면할 수 없다는 대구경북 상생의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이를 놓고 대구와 구미 단체장 어느 쪽에서도 자신의 공(功)을 부각시켜서는 안 된다. 특히 다가올 선거에 이용하는 것은 구미와 대구 간의 연대 의식에 바탕한 시민들이 결정한 현명하고 큰 뜻을 훼손하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올해 안으로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타당성 검토 및 기본구상 수립 용역이 진행될 예정이다. 역대 총리들도 조정을 중재했지만 풀지 못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어 중앙정부로서도 큰 짐을 덜게 됐다. 향후 낙동강 외 다른 수계의 물 분쟁에도 아름다운 선례로 인용될 것이다.
때마침 28일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지도부가 대구와 구미를 찾아 예산정책협의회를 가졌다. "TK 경제 부활의 핵심은 교통·물류 SOC 강화"라며 '선물 보따리'를 예고했다. 내년 대선과 지선을 앞두고 정치적 험지에 대한 구애의 수사(修辭)가 아니길 바란다.
하지만 현실에선 너무나 다르다. 대통령까지 나선 구미형 일자리 기업 유치는 수년째 제자리다. 구미 업계선 이미 물 건너갔다고 본다. 구미 국가산단 5공단 또한 텅 비어 있지만 민간기업을 강제로 끌고 올 수도 없다. 그렇다면 중앙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면 된다. 구미가 가장 목말라하는 KTX 구미산단역 개설이 대표적이다. 구미의 통 큰 포용에 화답할 차례다.
댓글 많은 뉴스
전용기 "내란선동 가짜뉴스 퍼나르면 일반인도 처벌" 국힘 "도련님, 카톡은 찢지 말아주세요"
탄핵 한 달 만에 與 지지율 증가…조급한 野 헛발질에 등 돌린 민심
"尹 지지율 46% 나와…2030 지지율도 40%대 ↑"
일반인 카톡 검열 논란에 여야 MZ 설전…"공산당식 통제 vs. 불법 방치"
옵티머스 사기 의혹 이혁진, 도피 중 美서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