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상품수지가 10년 3개월 만에 처음 적자를 기록했다. 경상수지는 3개월 연속 흑자였지만 흑자 규모는 감소했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7월 경상수지는 10억9천만달러(약 1조5천37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2020년 5월 이후 올해 3월까지 23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하다가 4월 수입 급증과 해외 배당이 겹치며 적자를 냈고, 5월 흑자로 전환한 뒤 석 달째 흑자를 유지했다.
하지만 7월 흑자액은 전년 동기(77억1천만달러) 대비 66억2천만달러 줄었다.
항목별로는 상품수지 흑자가 1년 전보다 67억3천만달러나 줄어 11억8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상품수지 적자는 2012년 4월 이후 10년 3개월 만이다.
수출(590억5천만달러)이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6.9%(37억9천만달러) 늘었으나, 수입(602억3천만달러) 증가 폭(21.2%·105억2천만달러)이 수출의 약 세 배에 달했다.
무엇보다 7월 통관 기준으로 원자재 수입액이 전년 동기 대비 35.5% 늘어난 영향이 컸다. 원자재 중 석탄, 원유, 가스의 수입액 증가율은 각 110.0%, 99.3%, 58.9%에 이르렀다.
반도체(23.8%) 등 자본재 수입도 7.6% 늘었고, 곡물(28.2%)과 가전제품(21.3%)을 비롯한 소비재 수입도 8.5%,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상품 수출이 석유제품 등 주력 품목을 중심으로 증가했지만, 중국의 경기 둔화에 따른 대(對)중국 수출 감소 등으로 증가세가 둔화했다"며 "상품 수입은 에너지류 가격 상승으로 원자재 수입이 급증하고 자본재 등도 확대되며 크게 늘었다"고 했다.
서비스수지는 3억4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7월(-2억8천만달러)보다 6억2천만달러 늘었다.
특히 서비스수지 가운데 운송수지 흑자 규모가 1년 사이 14억8천만달러에서 18억4천만달러로 3억6천만달러 증가했다.
7월 선박 컨테이너운임지수(CCFI)가 전년보다 16.5% 오르는 등 수출화물 운임이 높은 수준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방역 완화 등의 영향으로 여행수지 적자(-8억6만달러)는 지난해 7월(-5억달러)보다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내달 경상수지 전망에 대해 "8월 무역수지가 사상 최대 적자를 기록해 상품수지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서비스·소득수지도 봐야겠지만 적자 전환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쓰레기"라 한 친구는 '조국 수호대'
'이재명 무죄' 선고한 최은정·이예슬·정재오 판사는 누구?
민주당, 韓 복귀 하루만에 재탄핵?…"마은혁 임명 안하면 파면"
'나 홀로 인용' 정계선 집 주소 확산…유튜버들 몰려가 시위
'국회의원 총사퇴·재선거' 제안한 이언주…與, 릴레이 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