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의 부채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기성세대들은 청년층의 부채가 '단지 사치품을 사기 위해 신용카드를 과도하게 사용해서 부채가 늘어난 것'으로만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청년이 빚을 지는 과정 중 대부분은 '먹고 살기 위해 당장 돈이 필요한데 돈이 없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를 들여다보고 도움을 주기 위한 곳이 대구에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르는 대구지역 청년들이 많다. 대구청년연대은행 '디딤'이 바로 그 곳이다. '디딤'의 최유리 대표는 2010년대 초부터 대구지역의 청년문제에 관심을 갖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해 온 시민운동가다.
최 대표가 청년들의 부채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건 청년들이 겪게 되는 다양한 문제 속에 그들의 '빚'이 있었고, 그 빚이 그들의 빛을 갉아먹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였다.
"청년들의 노동 현실에 대한 고민을 하던 중 아무리 노동을 해도 빈곤을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 일어나고 있음을 목격했습니다. 그래서 대구지역 청년들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2018년, 2020년, 2021년에 했는데 조사할 때마다 청년들의 부채 총액이 1천만원 씩 늘어나더라고요. 그 때 문제의 심각성을 알게 됐죠.
청년들의 빚은 불안감과 소외, 고립으로 이어져요. 돈이 없으니까 불안하고, 사람을 만나면 돈을 쓰게 될까봐 사람을 더 만나지 않으니 소외와 고립으로 이어지죠. 그러면서 삶을 갉아먹는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이처럼 빚의 늪에 빠진 청년들을 돕기 위해 최 대표가 만든 단체가 바로 '디딤'이다. 최 대표가 말하는 '디딤'은 대안 금융 중 '자조 금융'의 형태를 띠며, 조합원들이 낸 출자금으로 정말 급한 자금이 필요한 청년들에게 최대 200만원까지 소액으로 대출해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모든 청년이 빌릴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디딤'에 조합원으로 가입해 최소 단위인 1구좌 당 5천원의 조합비를 내면 대출 대상이 될 수 있다. 이자는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는데 재능 기부나 일손 돕기 등으로도 이자 납부가 가능하다. 조합 행사에 참여도가 높으면 신용도도 올라가는 구조를 띠고 있다.
지난 2018년 '디딤'이 설립된 이후 1천300만원의 출자금을 모아 현재까지 대출해 준 건수는 총 35건이며 2명을 빼고는 모두 상환을 완료했거나 진행 중이다. 최 대표는 "상환율은 나름 높은 편인데, 아무래도 조합원으로 묶어서 자주 얼굴을 보게 만들면서 '내가 빌린 돈이 지금 만나는 사람들이 출자한 돈'이라는 부분을 부지불식간에 생각하게 만든 게 상환율을 높일 수 있었던 방법이 아니었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지금 청년들이 지고 있는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정책과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한다.
"상담을 해 보면 많은 청년들이 국가가 지원해주는 금융 정책에 대해 무지한 경우가 많아요. 대부분의 금융 정책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보니 이를 한 번에 찾아볼 수 있는 곳이 없어서 벌어지는 일이라고 봅니다. 또 대부분의 정책의 방식이 '대출'이다 보니 결국 돈을 빌리는 데 대한 부담 때문에 정책에 다가서지 못하는 부분도 있는 것 같아요. 게다가 제도권 교육에서 금융에 대한 교육이 전무해서 금융 자체에 대해 모르는 경우도 많아요."
최 대표는 '디딤'이 '은행'이란 이름을 달기는 했지만 부채에 대해 고민하는 청년들을 위한 단체인만큼 빚에 대한 고민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문을 두드려달라고 말한다.
"금융은 아는 게 힘이고, 알려면 많은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많은 분들이 디딤의 조합원이 돼서 금융으로 누군가를 도울 수 있고 도움을 받는다면 좋겠습니다. 금융이 가진 사회적 역할을 잘 아는 금융기관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도 함께 가져봅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