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교육청, 부모·자식 간 소통의 장 '아빠와 함께 캠프' 성료

올해 첫 행사 1박 2일 일정으로 안동시청소년수련원에서 개최
운동회와 서바이벌 게임, 마술공연, 미술심리상담 등 풍성한 프로그램에 호평
경북교육청, 찾아가는 행사로 지역별 순회 캠프 예정

경북도교육청이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1박 2일씩 2회에 걸쳐 개최한
경북도교육청이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1박 2일씩 2회에 걸쳐 개최한 '아빠와 함께 캠프' 메인 무대에서 아빠와 자녀들이 제기차기 시합을 벌이고 있다. 김영진 기자

"아빠는 돈 버는 기계가 아닙니다. 누구보다 여러분을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경북도교육청이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2회에 걸쳐 진행한 '아빠와 함께 캠프'에서 사회자가 한 말에 아빠들의 코가 시큰해졌다.

누구보다 자식을 사랑하지만, 표현의 기회가 부족했던 많은 아빠(아버지)를 위해 경북교육청이 발벗고 나섰다. 경북지역의 초등학생 아빠들이 참석하는 1박 2일 캠프를 추진한 것이다.

올해 첫 시행된 이번 캠프는 안동시설관리공단의 협조를 통해 안동시청소년수련원에서 개최됐다.

캠프 첫날 아빠와 함께 행사장을 찾은 학생들은 서먹한 모습이었다. 하지만 곧 시작된 명랑 운동회를 통해 처음 보는 학생과 학부모들은 어느새 하나가 됐다. 함께 대형 공을 굴리고 원반은 주고받으며 초록색 잔디밭은 웃음꽃으로 활짝 폈다. 최근 들어 가장 화창했던 날씨도 큰 몫을 했다.

경북도교육청이 추진한
경북도교육청이 추진한 '아빠와 함께 캠프'에 참가한 학생과 학부모들이 서바이벌 게임에 참가해 안전장비를 착용하고 게임 시작 전 총기 사용법을 연습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왕년 아빠들의 군생활을 추억하게 하는 서바이벌 게임도 열렸다. 고무탄이 들어간 모형 총이지만 자녀 앞에서 아빠들은 누구보다 늠름한 자태를 뽐냈다.

본격적인 게임이 시작되자 아빠들은 멋진 포복과 사격으로 자식에게 실력을 뽐낸 뒤 자녀들에게 날아오는 총탄을 몸으로 막으며 장렬히 전사했다. 아이들은 연방 "아빠가 최고"라고 외쳤고, 총탄에 맞은 몸은 쓰렸지만, 아빠들의 입가에 미소는 끊이지 않았다.

저녁 시간 마련된 메인행사는 K-POP 댄스팀의 역동적이고 절도 있는 공연으로 문을 열었다. 마술 공연이 시작되자 아이들보다 아빠들의 웃음소리가 더욱 커다랗게 들렸다. 마술사가 선물로 나눠준 마술지팡이를 든 아빠들의 표정은 장난기로 가득했다.

공연 중간에는 사회자의 진행으로 아빠와 자녀가 함께 제기를 차고 문제를 맞추며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행사의 대미를 장식한 코믹 저글링 공연에서는 화려한 공연과 불 저글링 등으로 가장 큰 인기를 끌었다.

둘째 날에는 최근 새롭게 유행하는 인기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 등 각종 캐릭터를 직접 색칠해 열쇠고리로 만드는 OPS 공예와 캘리그래피, 풍선아트 등의 부스가 운영됐다.

또 그림 그리기를 통해 자녀의 심리를 알아보는 미술심리상담도 마련돼 아빠들이 자녀를 더욱 자세히 이해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느린 우체통 부스에서는 '아빠에게', '자녀에게' 진솔한 마음을 담은 편지도 작성했다. 이번에 작성된 편지는 두 달 뒤 가정으로 배송될 예정이다.

경북도교육청 아빠와 함께 캠프에 참석한 아빠와 자녀가 캠프 프로그램의 일환인 명랑 운동회에 참석해 공굴리기 행사를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경북도교육청 아빠와 함께 캠프에 참석한 아빠와 자녀가 캠프 프로그램의 일환인 명랑 운동회에 참석해 공굴리기 행사를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이번 캠프 참가자들은 만족도 설문조사에서 '풍성한 프로그램에 매우 만족한다'고 평가하며 호평을 보냈다.

캠프 참가자 손두리(11·안동 영호초 4학년) 군은 "열쇠고리도 만들고 풍선으로 된 왕관도 쓸 수 있어서 너무 좋았다"며 "마술사 선생님이 준 마술지팡이로 학교에 가면 친구들에게 마술 공연도 보여줄 예정인데 내년에도 또 참가하고 싶다"고 참가 소감을 전했다.

경북교육청은 아빠와 함께 캠프의 반응이 뜨거움에 따라 내년에도 행사 개최 의사를 밝혔다.

특히 찾아가는 캠프 방식으로 진행돼 내년에는 다른 지역에서 행사 개최를 통해 더 많은 학부모와 학생이 참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할 예정이다.

임종식 경북도교육감은 "경북교육청은 학생과 학부모가 안전한 환경에서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만들고자 앞으로도 노력하겠다"며 "행사에 참가하신 모든 분들이 좋은 추억을 만들어 가셨길 바란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