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독자생존' 대구경북디자인진흥원, 규모 축소 불가피

외형-예산 현상유지 ‘안갯속’
“위기 기회로 삼아 다양한 활로 확보할 것”

대구경북디자인진흥원 전경. 매일신문DB
대구경북디자인진흥원 전경. 매일신문DB

대구테크노파크(대구TP) 흡수통합이 무산돼 독자생존의 길을 걷게 된 대구경북디자인진흥원의 앞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디자인진흥원은 최근 대구시가 출자·출연기관 해제 방침을 밝힘에 따라 내외형적으로 규모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부산·광주·대전·강원 등 다른 지역 디자인진흥원은 해당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대구경북이 독립 기관으로 새 출발 하면 디자인진흥원 중에서는 최초 사례가 될 전망이다.

앞서 대구시는 홍준표 대구시장 체제가 출범하면서 공공기관 통폐합 방침을 밝혔고, 디자인진흥원을 대구TP에 통합하기로 했다. 이에 디자인진흥원은 지난달 이사회를 열어 법인 해산안을 심사했지만, 산업부와 디자인업계 반대로 해산이 무산됐다.

디자인진흥원이 독립 법인으로 남게 되면서 변화는 외형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디자인진흥원이 입주한 동구 신천동 건물은 대구시 재산이다. 디자인진흥원이 시 출자·출연기관에서 해제되면 사무 공간 축소가 불가피하다.

현재로서는 시가 해당 건물 운영권을 대구TP에 넘기고 TP가 디자인진흥원에 임대하는 방안이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디자인진흥원 관계자는 "현재는 12개 전층을 사용하고 있는데 3개 층을 사용하는 방향으로 협의하고 있다"며 "이렇게 되면 행사장이나 교육장, 대관공간 등이 줄게 돼 외형적인 규모 축소는 피할 수 없을 것 같다"고 했다.

문제는 디자인진흥원 건물을 지을 당시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역디자인거점기관 지원 명목으로 건립비의 절반가량을 부담했다는 점이다. 디자인진흥원 외형 변화 과정에서 산업부가 개입할 여지를 배제할 수 없는 이유다.

디자인진흥원 예산도 축소된다.

디자인진흥원은 지난해 기준 시비 40%, 국비 30%, 경북도 등 지방비 30% 비율로 운영되고 있다. 디자인진흥원이 시 출자·출연기관에서 해제되면 시비를 직접 지원할 명분이 사라지는 만큼 다른 방법으로 빈 곳간을 채워야 한다.

디자인진흥원 관계자는 "내년에는 올해보다 많은 경북도 사업이 예정돼 있고 국비를 추가로 따온 것도 있다"며 "출자·출연기관이라는 울타리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신규사업으로 활로를 모색할 계획"이라고 했다.

산업부가 디자인진흥원 지원규모를 늘릴 가능성도 있다. 업계에서는 산업부가 디자인진흥원의 독자생존을 뒷받침할 의지와 방안이 있기 때문에 해산을 끝까지 반대한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내놓았다.

일각에서는 대구시의 무리한 기관 통폐합 추진으로 디자인진흥원 직원들만 고용 불안의 피해를 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산업부와 협의를 통해 디자인진흥원이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