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속국도 이용자에게 필수시설인 졸음쉼터에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이나 화장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0일 한국소비자원이 공개한 고속국도 46곳과 일반국도 4곳에 설치된 졸음쉼터 50곳의 장애인 편의시설 운영 실태 결과에 이 같은 내용이 포함돼있었다.
조사에 따르면 50곳 중 19곳의 화장실은 외부 바닥 면과 주 출입문의 높이차가 2cm를 넘어 휠체어 사용자가 출입하기 쉽지 않았다.
출입문의 높이차뿐만 아니라 좁은 입구도 문제가 됐다. 그 졸음쉼터 중 9곳의 주 출입문 폭이 휠체어가 통과하기 어려웠고, 일부 화장실은 대변기 칸의 폭·깊이가 좁은 곳이 10곳, 전면과 측면의 활동공간이 좁아 이용하기 어려운 곳이 13곳으로 조사됐다.
또 졸음쉼터 30곳은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이 없었고, 6곳은 전용 주차구역은 있었지만, 화장실 등 주요 시설물과 거리가 멀었다.
이 밖에도 보행로 폭이 좋은 곳 17곳, 통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설치된 곳 6곳, 보도와 차도의 높이 차가 커 휠체어 이동이 불편한 곳이 12곳으로 조사됐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도로공사와 민간 사업자에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자율 시정을 권고하고 국토교통부에는 장애인 시설 설치 확대 및 관리·감독 강화를 건의하겠다"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