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세사기 피해자 잇단 사망에 與 "경매 중단 촉구"

인천 전세사기 일당 엄벌 촉구하는 피해대책위원회. 연합뉴스
인천 전세사기 일당 엄벌 촉구하는 피해대책위원회. 연합뉴스

전세사기 피해자들의 잇따른 죽음에 국민의힘이 관련 경매 중단 조치를 촉구했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정부가 네 차례에 걸쳐 22개 전세사기 대책을 세우고 실행 중이지만 국민께 제대로 도움을 주지 못했다는 점이 통탄스럽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의장은 피해자들이 요구하고 있는 경매 중단 조치와 우선매수권 등을 언급하며 "우선 경매 중단 조치를 촉구한다. 정부와 조율해 실현 가능한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비극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며 "당과 정부, 모든 사회가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세사기 피해자 단체들은 경매 절차 일시 중단을 요청하고 있다.

살던 집이 경매로 넘어가 낙찰이 되면 후순위 세입자는 보증금을 아예 돌려받지 못하거나 최우선 변제액만 받을 수 있다. 최근 극단적 선택을 한 피해자들도 전세보증금이 '8천만원 이하'라는 최우선 변제 대상 기준을 넘어 보증금을 고스란히 날릴 판이었다.

이 때문에 피해자 입장에서는 거주하고 있는 집을 경매에서 낙찰 받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인데 일명 '꾼'들이 경매에 들어와 물건을 낙찰받고 피해자들은 받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경매 절차 중단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박 의장은 또 "후속대책 법안 13개 중 8개 개정이 완료됐지만 남은 법안도 조속히 개정을 완료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철규 사무총장도 "안타까운 비보가 연일 전해지고 있다"며 "고인의 명복을 빌고 다시는 그런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경매중단 조치도 필요하겠지만, 이런 부동산 사기 범죄가 가능하게 된 배후에 대한 철저한 수사가 뒤따라야 한다"며 당국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앞서 지난 17일 인천시 미추홀구 한 주택에서 30대 여성 A씨가 의식을 잃은 채로 발견돼 병원으로 옮겨지던 중 숨졌다. A씨는 최근 '건축왕' 사건으로 불린 미추홀구 전세 사기 피해자였다. 또 지난 2월 28일과 지난 14일에도 관련 전세 사기 사건 피해자인 20~30대 피해자 2명이 각각 숨진 채 발견됐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